제례순서(祭禮順序)
제상(祭床)앞에서 절하는데도 예의(禮義)와 순서가 있다, 유도회에서 제공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
강 신 降 神 |
신위께서 강림하시여 음식을 드시도록 청하는 뜻으로 제주를 위시하여 모든 참사자가 신위 앞에 선 다음 제주는 끓어 앉아 분양하고 잔이 차지 않은 술잔을 우집사에서 받아 모사에 술을 3번 나누어 부은 후 재배 한다, |
2 |
참 신 參 神 |
참신은 강신을 마친 후에 제주이하 일동이 일제히 신위를 향하여 재배한다, 신주를 모시고 올리는 제사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이나 사진으로 모시고 올리는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
3 |
초 헌 初 獻 |
제주는 강신 때와 같이 꿇어않아 분향한 후 우집사가 술을 가득이 부여주면 아버지 잔은 모사에 조금 식 3번에 기우려 부은 후 올린 다음 어머니 잔은 그대로 올리고 밥 뚜껑을 연후 저를 고른 후 재배한다, |
4 |
독 축 讀 祝 |
축문을 읽는 것으로 초헌 후에 일동이 꿇어앉으면 제주 옆에 앉은 축관이 천천이 그러나 크게 축문을 읽는다, 읽고 나면 일동은 기립하여 재배한다, |
5 |
아 헌 亞 獻 |
둘째 번 올리는 것으로 아현 이라 주부가 올리는 것이 관례이나 제주다음 근친자가 순서에 따라 올릴 수 있다, (모사에는 붓지 않는다,) |
6 |
종 헌 終 獻 |
아헌자 다음가는 근친자가 끝잔으로 올리는 것을 종헌이라고 하는데 아헌자는 잔을 받아서 초헌 때와 같이 모사에 세 번 기울여다가 올린다, |
7 |
첨 작 添 酌 |
초헌자가 신위 앞에 꿇어 앉아 우집사가 새로운 술잔에 술을 조금 따라주면 받아서 좌집사에게 준다, 좌집사는 이것을 받아 종헌자가 종헌 때 모사에다 기울였기 때문에 차지 않은 잔에 세 번으로 나누어 첨작하고 재배한다, |
8 |
계반삽시 啓飯揷匙 |
메 그릇을 열어 놓고 수저를 꽃는 것으로서 이때 수저 바닥이 동쪽 신위를 향해서 제주의 오른편으로 가게 하여 꽃는다, |
9 |
합 문 闔 門 |
함문이란 참사자 일동이 강림하신 신위깨서 진설한 제주 음식을 흠향하시도록 한다는 뜻으로 방에서 나온 후 문을 닫는 것을 말하는데 가정의례준칙 제50조 6항에는 삽시(揷匙) 합문(闔門) 개문(開門)을 하지 아니한 다라고 되어있다, 요즈음 그대로 삼 - 사분 기다린다, |
10 |
개 문 開 門 |
개문(開門)이란 문을 여는 것을 말하는데 제주는 문을 열기 전에 우선 기침을 세 번하고 난 후 문을 열고 들어가는 것이다, 가정의례준칙 위와 동 |
11 |
헌 다 獻 茶 |
숭늉을 국과 바꾸어 올리고 메를 조금식 3번 떠서 숭늉에 말고 수저를 숭늉 그릇에 놓고 밥뚜껑을 반쯤 덮고 3, 4분 있다가 기침하면 고개를 든다, |
12 |
철시복반 撤匙復飯 |
숭늉그릇에 놓인 수저를 걷는다 다음은 메 뚜껑을 덮는다, |
13 |
사 신 辭 神 |
참사자 일동은 재배한 다음 지방과 축문은 불사른다, 신과 작별하는 것이다 |
14 |
撤 床 |
철상(撤床)이라 제수(祭需)는 뒤쪽에서부터 물린다 |
15 |
飮 福 |
음복(飮福)이란 조상께서 주시는 복된 음식이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가족이 모여서 함께 먹는다, |
'일 반 상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급 공시사항 (0) | 2013.12.28 |
---|---|
갑자기 심장마비가 왔을 때 (0) | 2013.12.19 |
육십갑자표 (0) | 2013.11.11 |
농산물 (부피.무게.중량) 비교표 (0) | 2013.10.22 |
한국 족보들에 대한 검토 (0) | 2013.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