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찬성공파(유항)6세

수성최씨 찬성공파 블로그입니다.

by "율문" 2018. 4. 22.

隋城崔氏 찬성공파 블로그 방문을 환영합니다.

 

 

행장록
자(字)는 자상(子常)이시며, 고(考) 휘(諱) 경(涇) 증(贈) 순충보조공신 자헌대부 병조판서 수성군(純忠輔祚功臣 資憲大夫 兵曹判書 隋城君) 시호(諡號) 안양공(安讓公)의 삼자(三子)이시다.
공(公)은 어려서부터 천자(天姿)가 탁월(卓越)하시고 지행(志行)이 고결(高潔)하시어 모든 사람이 경외(敬畏)하지 않는 이가 없었으니, 이는 증조고(曾祖考)이신 봉암공(鳳巖公)의 대의명사(大義明事)하시고, 자인공검(慈仁恭儉)하신 가풍(家風)을 이어받아 공정(公正)과 청백(淸白)으로 처세지방(處世之方)을 삼으심으로

아드님 방촌공(芳村公)부터 사세(四世)에 걸쳐 구은일(九隱逸)을 배출한 근원(根源)이 되시었다.

 

세조 5년 기묘(己卯:1459) 무과(武科)에 등제(登第)하시고, 연일(延日), 강령(康翎), 함종(咸從), 안주(安州), 판관(判官)을 역임(歷任)하셨으며, 성종 17년 병오(丙午:1486) 9월에 하세(下世)하시니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崇政大夫 議政府 左贊成)에 추증(追贈)되시고, 배위(配位)는 증(贈) 정경부인(貞敬夫人) 거창신씨(居昌愼氏)로 영월군수(寧越郡守) 선갑(先甲)의 여(女)이시다.

 

묘소(墓所)는 경기도 평택시 가재동 산 58-1 유좌원(酉坐原) 쌍봉(雙封)

 

<문헌기록>

세조 35권, 11년(1465 을유 / 명 성화(成化) 1년) 3월 22일(기사) 2번째기사

함길도 도절제사 강순이 판관 이지정을 본도로 충군할 것을 건의하다


함길도도절제사 강순(康純)이 아뢰기를, “도내(道內)의 전 판관(判官) 이지정(李之楨)·최유항(崔有恒)과 경성 판관(鏡城判官) 정하생(鄭夏生) 등은 부방(赴防)하는 것을 피하기를 도모하여 전에 벼슬 살던 곳에서 준순(逡巡)한 지가 4개월이 지났으니 지극히 불가합니다. 무릇 무사(武士)를 양육하는 것은 본시 변경(邊境)을 〈지키기〉 위한 것인데, 이지정 등은 국가의 본 뜻을 돌아보지 않고 여러 가지로 연고를 칭탁하며 오로지 면할 것만을 엿보기를 일삼았으니 이로부터 사람이 모두 뒤를 이어 일어나면 그 폐단이 염려됩니다. 청컨대 이지정 등을 본도(本道)에 충군(充軍)하였다가 그 공(功)세우는 것을 기다려 바야흐로 다시 서용하기를 허락하여서 뒤에 오는 사람을 징계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태백산사고본】 【영인본】 7책 677면【분류】 *인사(人事) / *사법-탄핵(彈劾) / *군사-지방군(地方軍) / *군사-부방(赴防) / *신분-신분변동(身分變動)


성종 173권, 15년(1484 갑진 / 명 성화(成化) 20년) 12월 1일(갑인) 4번째기사이흠석·심정원·조한손·이윤검·이영희·김수정·최유항 등을 서용하게 하다. 이조(吏曹)와 병조(兵曹)에 전지(傳旨)하기를, “이흠석(李欽石)·심정원(沈貞源)·조한손(曺漢孫)·이윤검(李允儉)·이영희(李永禧)·김수정(金粹精)·최유항(崔有恒)·신자제(愼自齊)·손계검(孫繼儉)을 서용(敍用)하라.” 하였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인종실록(仁宗實錄)』『명종실록(明宗實錄)』『국조방목(國朝榜目)』『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저는 수성최씨 찬성공파 시은공 손 세조 9세 세용 (첨악공) 종친회 총무이사로 13년간 재직하면서

그간 수성최씨 상계도. 고증자료. 조상님의 업적. 등   각.문중. 신라김씨.~ 경주김씨 ~구. 안동김씨 .~ 수성최씨  홈페이지. 카페.  불로그 . 조선실록. 규장각. 등 수집하여 수성최씨 집안 자료  올려 드립니다.

  혹시  잘못 기록 된 문장이나.  정확한 자료 있으시면 댓글도 열락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하거나 보완 하겠습니다.


수성최씨 홈페이지 바로가기 클릭하세요!



소 담 (寬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