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첨악공(세용) 9세

수성최씨 첨악공손1849년 최광련(崔光鍊)

by "율문" 2017. 10. 31.

15.수성최씨 찬성공파 첨악공손 세조 17 최광련 태계 호자 집안 내오 장남의 장남

년도시험 : 哲宗 12 (1801) 式年 生員
 【합격등위】 2등 0013
 【본인성명】 최광련(崔光鍊)
 【본인생년】 신축(辛丑) 1781
 【본인본관】 수성(隋城) 최(崔)
 【본인거주】 춘천(春川)
 【본인구존】 영감하(永感下)
 【본인전력】 유학(幼學)
 【본인과목】 일의(一疑)
 【부친성명】 최내수(崔乃秀)
 【부친과거】 성균생원(成均生員)
 【생부성명】 최내오(崔乃悟)
 【생부관직】 /학생(學生)
 【생부구존】 영감하(永感下)

16.수성최씨 찬성공파 첨악공손 세조 18세 최재성 부 최광련의 자

시험년도 : 高宗 22 (1885) 增廣 生員
 【합격등위】 3등 0095
 【본인성명】 최재성(崔在聲)
 【본인생년】 갑술(甲戌) 1814
 【본인본관】 수성(隋城) 최(崔)
 【본인거주】 춘천(春川)
 【본인구존】 영감하(永感下)
 【본인전력】 유학(幼學)
 【본인과목】 일의(一義)
 【부친성명】 최광련(崔光鍊)
 【부친품계】 절충장군(折衝將軍)
 【부친관직】 중추부(中樞府)/첨지사(僉知事)
 【안항(형)】 최재문(崔在聞)






1849년 최광련(崔光鍊) 준호구(準戶口)  


· 분류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작성주체 발급 : 춘천부(春川府)
수취 : 최광련(崔光鍊)
· 작성지역 춘천부
· 작성시기 道光二十九年(1849)
· 형태사항 88.7 X 58.5 | 1장 | 종이 | 한자 | 낱장
· 인장서명 1 (적색, 정방형, 8.6*8.6, 春川府印)
1 (흑색, 장방형, 12.5*5.0, 周挾改印)
· 원소장처 춘천 수성최씨
· 현소장처 춘천 김현식

연결자료

안내정보

1849년 최광련(崔光鍊)춘천부(春川府)로부터 발급받은 준호구(準戶口)이다.
최광련춘천부 서상(西上) 권산리(權山里)에 거주하였고 문서를 발급받을 당시의 나이는 69세였으며 본관은 수성(隋城)이다.
가족구성원으로 아들 최재성(崔在聲), 며느리 전주이씨(全州李氏), 손자 동몽(童蒙) 최하현(崔夏鉉), 아우 최광건(崔光鍵), 제수 동래정씨(東萊鄭氏), 조카 최재붕(崔在鵬), 조카 며느리 문화유씨(文化柳氏), 조카 최재렴(崔在濂), 조카 사위 이기채(李夔采), 아우 최광진(崔光鎭), 제수 문화유씨(文化柳氏), 조카 최재기(崔在驥), 조카 며느리 초계정씨(草溪鄭氏), 조카 최재선(崔在璿), 조카 며느리 초계정씨(草溪鄭氏), 조카 최표양(崔豹鍚), 서제(庶弟) 최광회(崔光繪), 제수 청송심씨(靑松沈氏)가 함께 거주하였다.

상세정보

1849년(헌종 15)春川府에서 西上 權山里에 거주하는 幼學 崔光鍊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조선시대의 준호구는 오늘날의 호적등본, 주민등록등본과 같은 성격을 가진 문서로 主戶의 신청에 의해 발급되며 주호가 신청을 하면 해당 관청에서는 호적대장의 내용에 의거하여 그 내용을 등서해 발급하였다. 준호구의 형식은 經國大典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발급일과 발급날짜를 먼저 기재하고 考干支成籍戶口帳內로 시작한다. 이후로는 주호의 거주지와 가족구성원, 주호와 처의 四祖 및 소유 노비에 대해 連書한다. 해당 문서도 이러한 기재방식을 따르고 있다. 그리고 周挾改印과 官印, 수결은 있으나 부사를 기재하지 않은 것은 특이한 점이다.
문서에 따르면 최광련신축년(1781)생으로 당시 나이는 69세였고 본관은 隋城이다. 최광련의 父는 成均生員 崔乃秀이고 生父는 學生 崔乃悟이다. 생부가 기재된 것으로 보아 최광련최내수의 양자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친이 동일하고 출생년도와 처의 성씨가 모두 같은 것으로 보아 1801년최한달과 동일 인물로 추정된다. 1831년 최내수의 준호구에 아들로 등장하던 최광련이 본 준호구에서는 주호가 된 것으로 보아, 아버지 최내수1831년에서 1849년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祖는 學生 崔準海이고 曾祖는 學生 崔昇이다. 外祖는 通德郞 權揄이며 본관은 安東이다.
平康蔡氏는 사망하였는데, 평강채씨1831년 최내수의 준호구에도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함께 사는 가족으로는 아들 崔在聲(36세), 며느리 全州李氏(38세), 손자 童蒙 崔夏鉉(11세)이 있다. 1831년의 문서에는 최광련의 첫째 아들 崔在聞과 며느리 善山金氏가 등장하나 해당 문서에는 기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분호한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아우 幼學 崔光鍵(58세), 제수 東萊鄭氏(45세), 조카 幼學 崔在鵬(23세), 조카 며느리 文化柳氏(25세), 조카 幼學 崔在濂(21세), 조카 사위 幼學 李夔采(29세)가 있다. 조카사위가 함께 거주하는 것으로 보아 조카 딸도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또 아우 幼學 崔光鎭(53세), 제수 文化柳氏(53세), 조카 幼學 崔在驥(31세), 조카 며느리 草溪鄭氏(33세), 조카 幼學 崔在璿(22세), 조카 며느리 草溪鄭氏(23세), 조카 童蒙 崔豹鍚(19세), 庶弟 幼學 崔光繪(26세), 제수 靑松沈氏(26세)가 함께 거주하였다. 최광건, 최광진, 최광회도 모두 최내수의 아들이나 이전의 문서들에는 등장하지 않다가 해당 문서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최광련이 소유한 노비는 총 44口로, 이 중 남자종은 24구, 여자종은 20구이다. 노비들의 출생년도는 모두 기재되었으나 부모 사항에 대해서는 불규칙적으로 기재되었다. 44구의 노비 중 3구는 외방노비이며 이들은 모두 여자종이다. 1구는 광주에 거주하는 것으로 기재되었고 2구는 거주하는 지역에 대해 기재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문현주, 조선후기 漢城府에서의 戶口單子·準戶口 작성 과정에 관한 再考, 古文書硏究42, 한국고문서학회, 2013
유재춘, 강원도내 戶口 古文書의 현황과 특이사례에 대한 검토, 古文書硏究39, 한국고문서학회, 2011
손병규, 호적, 휴머니스트, 2006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2003

조선시대 양반에게 발급한 "준호구"문서 와 국조방조에 기록되여 있는

과거급제 기록문서 입니다.

위 최광련조상님은 태계손(자앙공) 4자 호자 증손자로서 태계 아우이신 태숭집안 증손자

내수 장남(양자) 입적하여 과거시험에 2등으로 합격하여 정3품 당상관까지 오르신

조상님이십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