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상 진설도 홍동백서(紅東白西)
西 東
신위 (양위)
6렬 ○ ○ ○ ○ ○ ○ ○
수저 국수 반 갱 반 갱 떡
5열 ○ ○ ○
잔 잔 조청
4열 ○ ○ ○ ○ ○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
3열 ○ ○ ○
육탕 소탕 어탕
2열 ○ ○ ○ ○ ○ ○ ○
포 고사리 숙주 무채 간장 물김치 식혜
1열 ○ ○ ○ ○ ○ ○ ○
밤 배 다식 산자 감 사과 대추
○ ○
모사 향로
제사드리는순서
지방 각 문중마다 다르나 기본 제레는 다음과 같이 행하면 무난하다고 보며 제사는 정중하게 안방에 모신다.
① 강신 참사자 전원이 재배(두 번 절한다)
② 분향 초헌이 향을 피우고 재배 (하늘에 신을 부른다)
③ 모사 초헌이 모사 그릇에 술을 세 번에 나누어 붓고 재배
(땅에 신을 부른다)
④ 초헌이 잔을 올리고 정저 반개를 한후 참사자 전원 부복 축관이
독축을 한다. 초헌만 재배
단 정월은 떡 만 두국 추석은 송편 단잔(한번)이고 독축을 하지
않는다.
⑤ 아헌이 잔을 올리고 삽시후 재배
⑥ 종헌이 잔을 07정도 채운 후 잔을 올리고 재배
⑦ 첨작 첨헌이 술을 세 번에 나누어 잔을 채우고 배배
⑧ 함문 참사자 전원 방 박으로 나간다 잠시 후 초헌이 기침 세번후
전원 방으로 들어온다.
⑨ 국을 숭늉으로 박꾼후 밥을 세수저로 떠서 마룬후 수저를 걸쳐
놓는다
⑩ 사신 잠시 후 수저를 걷고 복개후 전원 재배 하고 분축을 한다.
(축문을 태움)
⑪ 참사자 서열 순서로 음복을 한다. 이상 끝
단 정월 추석은 차례라고 하며 ⑤ ⑥ ⑦ ⑧ ⑨ 는 행하지 않는다
남자는 2배(두번 절한다)
여자는 4배(네번 절한다)
홍길동을 가상으로 하여 축문을 작성한다
홍길동 부친 제사일 2007년 2월 5일
홍길동 모친 본관 서울 김씨로 가상 한다 ①年진 ② 月 1일 일진 ③제사날 일진④祖의경우 ⑤祖의경우 ⑥祖의경우⑦考=父 妣=母 祖考=祖父
祖妣=祖母 망인표시경우 ⑧ 祖의경우
축문 지방은 세로 쓰는것이 원칙임니다 본 축문은 콤퓨터 기술문제로
가로 작성 하였음을 알림니다
유 세차 정해 이월 병인 초 오일 경오
維 歲次① 丁亥 二月② 丙寅 初 五日③ 庚午
효자 (효손) 감소고우 길동
孝子④(孝孫) 敢昭告于 길동
현 고 (조고) 학생부군
顯 考⑤(祖考) 學生府君
현 조 비유인 서울김씨 세서천역
顯⑥(祖) 妣孺人서울金氏 歲序遷易
현 조 고 (현조비) 휘일 부임 추원감시 호천망극 (불승영모)
顯(祖) 考⑦(顯祖妣)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⑧ (不勝永慕)
근이청작 서수공신 전헌 상
謹以淸酌 庶羞恭伸 奠獻 尙
향
饗
지방 쓰는 법 부모의 경우
顯 妣孺人 서울金氏 神位
顯 考 學生 府君 神位
조부모의 경우
顯 祖妣孺人 서울金氏 神位
顯 祖 考學生 府君 神位
제사상 진설도 조율시이(棗栗梨枾)
西 東
신위 (양위)
6렬 ○ ○ ○ ○ ○ ○ ○
수저 국수 반 갱 반 갱 떡
5열 ○ ○ ○
잔 잔 조청
4열 ○ ○ ○ ○ ○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
3열 ○ ○ ○
육탕 소탕 어탕
2열 ○ ○ ○ ○ ○ ○ ○
포 고사리 숙주 무채 간장 물김치 식혜
1열 ○ ○ ○ ○ ○ ○ ○
대추 밤 감 배 사과 다식 산자
○ ○
모사 향로
서쪽에서
棗(대추) 씨가 1개로 임금을 뜻함
栗(밤) 씨가 3통으로 3정승(영의정,우의정 좌의정)을 뜻함 현총리
梨(곶감) 씨가 6개로 6조판서(吏,戶,禮 兵,刑,工曹)를 의미하며 현장관
枾(배) 씨가 8개로 관찰사(8道)를 뜻함 현도지사
해설
인간은 本性이 善하다 生後 환경의 지배를 받아 善과 惡이 작용하므로
品階(계급)으로 다스린다
사과는 1900년대 윤병수 선교사에 의하여 우리나라에 반입되어서
조율이시 제례에는 반영이 안 되었으나 통례적으로 동족으로 진설한다
時享忽記(제사 들이는 순서)
●본표시는 원문을 번역한것
參祀者 一同 奉審以次咸詣 墓庭序立 再拜 △ 執事 二人이 盥洗 分左右立 △
참사자 일동 봉심이차함예 묘정서립 재배 △ 집사 이인이 관세 분좌우립 △
● 참사자일동 공경한 마음으로 산소앞에 엄숙히 차례로 서서 재배 △집사 二분이 손을 씻고 좌우로 서시오 △
陳設△ 執事 二人이 實果 脯醯 熟菜 生菜 沈菜 淸醬 及 匙堞盞盤)을 依順
陳設△
진설 △ 집사 이인이 실과 포혜 숙채 생채 침채 청장 급 시첩잔반을 의순진설 △
● 진설 △ 집사 二분이 실과 포혜 숙채 생채 침채 청장 및 시첩잔반을 순서에 따라 진설 △
初獻이 盥洗 進跪 香案前 俯僕 三上香 少退再拜△
초헌이 관세 진궤 향안전 부복 삼상향 소퇴재배 △
●초헌이 손을 씻고 향로 앞에 나와 부복하고 향불을 三번 피우고 조금 물러나 재배 △
初獻이 俯伏△ 執事者 奉盞 斟酒授之 初獻△
초헌이 부복 △ 집사자 봉잔 짐주수지 초헌 △
● 초헌이 다시 부복 △ 집사가 잔을 받들어 술을 부어서 초헌에게 주시오 △
初獻 奉盞 三傾于茅 沙地授之 執事△
초헌 봉잔 삼경우모 사지수지 집사 △
● 초헌이 잔을 받들어 三번 모사지에 기울이시고 집사에게 주시오 △
初獻이 俛伏興 少退再拜△
초헌이 면복흥 소퇴재배 △
● 초헌이 머리를 숙이고 조금 물러서서 재배 △
進饌△ 執事 二人이 餠 麵 淸 飯 羹 湯 炙 陳設△
진찬 △ 집사 이인이 병 면 청 반 갱 탕 적을 진설 △
● 진찬 △ 집사 두분이 병 면 청 반 갱 탕 적을 진설 △
初獻俯伏△執事가 奉盞斟酒授之初獻△
초헌부복 △ 집사가 봉잔짐주수지초헌 △
●초헌다시부복△ 집사가 잔을 받들어 술을 부어 초헌에게 주시오 △
初獻이 奉盞三傾于 香爐前授之執事 俯伏△
초헌이 봉잔삼경우 향로전수지집사 부복 △
● 초헌이 잔을 받들어 세 번 향로앞에 기울이고 집사에게 주고 부복 △
執事가 奉盞 尊于床上 啓飯盖正薯△
집사가 봉잔 존우상상 계반개정서 △
●집사가 잔을 받들어 상위에 올린 후 반개를 열고 정서 △
參祀者皆俯伏△讀祝△祝官이 初獻官 之左俯伏 讀祝△
참사자개부복 △ 독축 축관이 초헌관 지좌부복 독축 △
● 참사자 전원 부복 △ 독축 축관이 초헌관의 왼편에 부복 독축 △
初獻이 俛伏興少退再拜△亞獻△執事가 奉出盞盤△
초헌이 면복흥소퇴재배 △ 아헌 △ 집사가 봉출잔반 △
● 초헌이 머리를 숙여 조금 물러서서 재배 △ 아헌 △ 집사가 잔을 받들어 물리시오 △
亞獻이 盥洗 進跪 香案前 俯伏△執事가 奉盞斟酒授之亞獻△
아헌이 관세 지궤 향안전 부복 △ 집사가 봉잔짐주수지아헌 △
● 아헌이 손을 씻고 향로 앞에 나와 부복 △ 집사가 잔을 받들어 술을 부어 아헌에게 주시오△
亞獻이 奉盞三傾于 香爐前授之 執事 △執事가 奉盞尊于床上△
아헌이 봉잔삼경우 향로전수지 집사 △ 집사가 봉잔존우상상 △
● 아헌이 잔을 받들어 세 번 향로앞에 기울이고 집사에게 주시오 △ 집사가 잔을 받들어 상위에 올리시오 △
亞獻이 俛伏興少退再拜 △執事가 奉出盞盤 △終獻△
아헌이 면복흥소퇴재배 △ 집사가 봉출잔반 △ 종헌△
● 아헌이 머리를 숙여 조금 물러서서 재배 △ 집사가 잔을 받들어 물리시오 △종헌△
終獻이 盥洗 進跪香案前 俯伏△執事가 奉盞半 斟酒授之終獻△
종헌이 관세 진궤향안전 부복 △ 집사가 봉잔반 짐주수지종헌 △
● 종헌이 손을 씻고 향로앞에 나와 부복 △ 집사가 잔을 받들어 술을 반잔 부어 종헌에게 주시오 △
終獻이 奉盞 三傾于 香爐前 授之執事 △ 執事가 奉盞尊于床上△
종헌이 봉잔 삼경우 향로전 수지집사 △ 집사가 봉잔존우상상 △
● 종헌이 잔을 받들어 세번 향로앞에 기울이고 집사에게 주시오△ 집사가 잔을 받들어 상위에 올리시오 △
揷匙正暑△ 終獻이 俛伏興少退再拜△
삽시정서 △ 종헌이 면복흥소퇴재배 △
● 삽시정서 △ 종헌이 머리를 숙여 조금 물러서서 재배 △
添酌△ 添獻이 盥洗進跪香案前俯伏△
첨작 △ 첨헌이 관세진궤향안전부복 △
● 첨작 △ 첨헌이 손을 씻고 향로앞에 나와부복 △
執事가 奉盞斟酎授之添獻△ 添獻이 奉盞 三傾于香爐前授之執事△
집사가 봉잔짐주수지첨헌 △ 첨헌이 봉잔 삼경우향로전수지집사 △
● 집사가 잔을 받들어 술을 부어 첨헌에게 주시오 △ 첨헌이 잔을 받들어 세번 향로앞에 기우리고 집사에게 주시오 △
執事가 奉盞 三番添酌△ 添獻이 俛伏興 少退再拜△
집사가 봉잔 삼번첨작 △ 첨헌이 면복흥 소퇴재배 △
●집사가 잔을 받들어 세번에 나누어 잔을 채우시오 △ 첨헌이 머리를 숙여 조금 물러서서 재배 △
侑食△ 參祀者 皆俯伏食頃而興 △
유식 △ 참사자 개부복식경이흥 △
● 유식 △ 참사자 전원부복하고 묵념한 후에 일어나시오
執事가 徹羹 進熟水除飯三傾和于 水復正薯 △
집사가 철갱 진숙수제반삼경화우 수복정서 △
● 집사가 갱을 물리고 숙수을 올리며 식사를 세수저 물에 말고 다시정서 △
初獻官 墓前俯伏 退爵飮卒爵△
초헌관 묘전부복 퇴작음졸작 △
● 초헌관은 묘소앞에 부복하고 잔을 물려서 음복 △
立少頃後 執事가 歛匙箸覆飯盖△辭神△
입소경후 집사가 검시저복반개 △ 사신 △
● 잠시후에 집사가 수저를 거두고 반개를 덮으시오 △ 사신 △
初獻官參祀者皆再拜 △祝官이 俯伏焚祝△
초헌관참사자개재배 △ 축관이 부복분축 △
● 초헌관 참사자 전원 재배 △ 축관이 부복 축문 소화하시오 △
飮福△執事가 徹饌參祀者勸飮福 禮畢△
음복 △ 집사가 철찬참사자권음복 예필 △
● 음복 △ 집사가 제수를 물려서 참사자에게 음복을 권하고 예필함니다 △
'일 반 상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문 관련예문 (0) | 2017.12.03 |
---|---|
조율이시뜻 (0) | 2017.11.25 |
제사상 진설법 (0) | 2017.11.25 |
도포(道袍) 바르게입기 (0) | 2017.11.23 |
경로당(노인회) 운영규정 (0) | 2017.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