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21 대한민국 성씨의 역사 우리나라 성씨의 역사 우리 나라 성(姓)은 중국의 한자문화가 유입한 뒤인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성을 사용한 것은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며, 처음에는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 산, 강 등을 성으로 삼았다. - 신농씨(神農氏)의 어머니가 강수(姜水)에 있.. 2018. 7. 30. 수성최씨 찬성공파 첨악공(세용) 상계도(종합) 2018. 7. 29. 조선시대 무관 계급(품계,관직)표 조선시대 무관 계급(품계, 관직) 품계 관직 설명 임진왜란시 재임자 정1품 (참모총장급) 도제조 의정(議政)이나 의정을 지낸 사람을 임명하였으나, 실무에는 종사하지 않는 자문 명예직 종1품 (군사령관급) 제조 정2품 (군단장급) 도총관(都摠管) 조선 시대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서 군.. 2018. 7. 22. 찬성공파(유항) 관직 찬성공파(유항) 안주 판관 벼슬을 지내시다. 연일판관 : 경북 포항시 연일읍 강령판관 : 황해남도 강령군 함종판관 : 평안남도 함종현~ 혐종도호부~함종군으로 안주판관 : 평안남도 안주군 소속관아의 행정실무를 지휘, 담당하거나, 지방관을 도와 행정·군정에 참여하였다. 조선시대의 판관은 고려의 판관제를 계승하면서도 체계화하여 종5품관으로 통일하는 등 고려와는 판이한 판관제로 정비되었다. 조선 초에 판관이 설치된 관아로 중앙에는 상서원·사옹원·내자시·내섬시·군자감·제용감·봉상시·내의원·예빈시·관상감·전의감·사복시·군기시·상의원·선공감·전함사 등이 있고, 지방에는 도·유수부·대도호부·목·도호부 등이 있으며, 그 뒤에 한성부·사역원·훈련원·돈녕부 등 중앙관아에 증치되었다. 이것은 1746년(영조 22) 이전에 훈.. 2018. 7. 21. 수성최씨 찬성공파 후손 과거시험 합격자 명단 수성최씨 찬성공파 시은공(숭한) 후손 중 조선시대 과거시험 합격자 명단을 국조방조에서 인용한 자료 입니다. 혹시 집안 조상님 중에 누락 되신 분 게시면 열락 바랍니다. 단. 국조방조나 사마방목에 기록되여 있어야 인정합니다. ※ 더 자세희 보시려면 카테고리 수성최씨편 36.37.38.39페.. 2018. 7. 10. 찬성공파종중 임시총회 모습 2018년6월30일(토) 수원시 대종회 사무실에서 찬성공파 종중 임시총회를 개최하다 안건 : 찬성공파 종토 답. 2.878㎡ 매각 838.937.000원 결의 2018. 7. 1. 이전 1 ··· 94 95 96 97 98 99 100 ··· 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