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隋城 崔氏(수성최씨)

신라김씨 ~ 경주김씨~안동김씨~수성최씨 역사 상계도

by "율문" 2013. 9. 14.

 

 

2. <안동 김씨(先) 계통도> (2002. 4. 29. 태서(익) 자료 제공)

 

시조대왕 金閼智(알지)
신라국 서기60년 탄생

勢漢(세한)

阿道(아도)

首留(수유)

郁甫(욱보)

仇道(구도)

末仇(말구)

奈勿王(내물왕)

卜好(복호)

習寶(습보)

智證王(지증왕)

眞宗(진종)

欽運(흠운)

摩次(마차)

法宣(법선)

義寬(의관)

魏文(위문)

孝讓(효양)

元聖王(원성왕)

禮英(예영)

均貞(균정)

神武王(신무왕)

文聖王(문성왕)

安(안)

敏恭(민공)

實虹(실홍)

孝宗(효종)

敬順王(경순왕)
신라56대 끝임금

殷說(은열)

叔承(숙승)
안동김씨시조

日兢(일긍)

利請(이청)

義和(의화)

敏成(민성)

이중 신라 마지막왕인 경순왕에서 가장 많은 후손들이 나왔다. 경순왕은 9명의 아들이 있는데 그 중 넷째아들인 은열(殷說)의 후손이 가장 번창하였는데 선안동(先安東), 청풍, 김녕, 도강, 전주, 양근, 영광, 안산김씨 등이 그(은열)의 후손이다.

敏成(민성)

孝恭(효공)

  

 

 

 

 

 

孝印(효인)

충렬공 方慶(방경)
(안동김씨 중시조)

 

 

 

 

 

 

之慶(지경)

惺(성)

永儒(영유)

 

 

 

 

 

 

永洙(영수)

 

 

 

 

玄慶(현경)
(수성 최씨 분적)

준(준)

永星(영성)

激(격)

 

 

 

 

 

永奎(영규)

 

 

 

 

 

 

永箕(영기)

약(약)

士文(사문)

 

孝구(효구)

惟善(유선)

 

 

 

 

 

孝綬(효수)

天錫(천석)

 

 

 

 

 

孝組(효조)

天弼(천필)

 

 

 

 

3. 신라김씨 세부 원류도 및 안동김씨 분파도 (1차-2002. 10. 17.  2차-2007. 4. 15. 국회(문) 제공,  수정 편집)

  1) [신라 김씨의 세부 원류도(源流圖) ] : 대보공(휘 閼智)--경순왕(휘 傅)--평장사공(휘 叔承) (붉은색 계열)

  

  [ 新羅金氏 細部 源流圖 ]
  始祖 金閼智   우리나라의 김씨는 1)김알지를 시조로 하는 대보공 계통과,  2)가락국 김수로왕을 시조로 하는 수로왕 계통의 김해 김씨와, 3)임진왜란때 왜장 가등청정의 좌선봉으로 왜병 삼천명을 이끌고 왔다가 조선의 문물에 흠모한 나머지 귀화한 김충선(본명 사야가)을 시조로 하는 또 다른 김해 김씨가 있다. 

 

 

01世 시조 김알지
       
  ①子    

                                      <보기>

 00世 : 시조 알지에서의 세대수.  00世 : 안동김씨 시조 숙승에서의 세대수

 00世 : 안동김씨 중시조 방경에서의 세대수.   x : 후손이 없거나 세대가 이어지지 않음을  표시

   
02世 勢세      
  漢한

 

 

 
 
                                       
  ①子      
03世 阿아      
  道도      
                                                         
  ①子                                                      
04世 首수      
  留류      
                                                         
  ①子                                                      
05世 郁욱      
  甫보      
                                                         
  ①子                                                      
06世 仇구  
  道도 ③子  
 
 
                                                     
  ①子   ②子   ③子             *미추왕 : 신라 제 13대왕. 김씨왕가의 시조이며 농사를 권장하고 여러차례에 걸친 백제의 침락을 물리침(재위:262-284). 미추왕은 신라 12대왕인 점해왕이 아들이 없자 대신 왕위에 올라서 임금이 됨. 김씨 왕조의 첫 임금(조분왕의 사위)    
07世 味미 大대 末말  
  鄒추 西서    
  王왕 知지 仇구  
    x                                                      
      ①子   ①子             *내물왕 : 신라 제 17대왕으로 381년 전진왕 부견에게 위두를 보내어 중국 문물의 수입에 힘씀. 이때를 전후해서 한자가 처음으로  상용화 된 것으로 추정됨(재위:356-402년)  
08世 實실 柰내  
  聖성 勿물 *실성왕 : 신라18대왕 내물왕의 아들인 눌지를 시기하여 죽이려다가 도리어 피살됨 (재위;402-417년)  
  王왕 王왕 ③子  
 
 
        
      ①子   ①子     ②子   ③子                                    
09世 致치 訥눌 卜복 未미 *눌지왕 : 신라 제 19대왕. 고구려 볼모에서 풀려나 실성왕을 죽이고 왕위에 오름. 백제와 공수동맹을 맺어 고구려를 견제하였음(재위:417-458). 볼모로 잡혀가 있던 아우 복호를 고구려에서, 아우 미사흔을 일본에서 구해 옴  
  祉지   斯사  
  休휴 王왕 好호 欣흔  
        x                                                  
          ①子     ①子   ①子                                    
10世 恣자 習습 仇구 *자비왕:신라제 20대왕. 459년 왜인이 월성을 포위하자 군사를 정비 하여 이를 격퇴시킴. 재위 17년에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자 나제동맹을 맺음(재위:458-479)  
  悲비    
  王왕 寶보 天천  
                                                         
          ①子     ①子   ①子   *소지왕:신라 21대왕. 원래 왕의 호는 소지마립간. 9년(487년) 사방에 우역을 두었고, 12년(490년)에는 서울에 시장을 설치. 백제와 혼인 동맹을 맺고 고구려와 여러 번 싸움(재위:479-500)   
11世 炤소 智지 柒칠  
  智지 證증  
  王왕 王왕 夫부 *지증왕:휘는 지대로. 신라 22대왕. 김씨의 7대의 왕임 소지왕이 후사없이 죽자 왕에 추대됨  
    x ③子    
 
 
 
                                                     
  ①子     ②子       ③子   ①子   *법흥왕 : 신라의 제 23대왕(재위 514∼540). 휘.원종. 517년 병부를 설치. 520년 율령으로백관의 공복을 제정. 521년 양나라와 국교를 수립 함  
12世 法법 立입 眞진 順순  
  興흥    
  王왕 宗종 宗종 元원    
    x        
        子자       ①子   ①子   *진흥왕 : 신라 제24대 왕(재위 540∼576). 휘 삼맥종, 법흥왕의 뒤들 이어 7세에 즉위. 법흥왕비가 섭정함. 541년 이사부를 병부령에 임명. 백제에 화친정책을 썼으며, 551년 개국이라고 개원함. 554년 백제 성왕의 군사를 격퇴, 성왕을 사로잡아 죽임.  
13世 眞진 欽흠 依의  
  興흥    
  王왕 運운 忠충  
                                                         
        ①子       ①子   ①子   *진지왕 : 신라 제 25대 왕(재위 576∼579). 휘 사륜·금륜,백제와 불화하여 자주 침공을 받아 내리서성을 쌍아 방비를 굳게 함. 중국 진나라와 수교 화친을 도모하였다  
14世 眞진 摩마 斯사  
  智지   多다  
  ②子 王왕 次차 含함  
 
 
                                                     
  ①子     ②子       ①子   ①子                                    
15世 銅동 龍용 法법 元원  
  輪륜 ②子 春춘 ②子 宣선 訓훈  
 
 
 
 
              *진평왕 : 신라 제26대 왕(재위 579∼632).584년 건북으로 개원하고 여러차례의 고구려의 침공에 대항 수나라에게 공물을 바치며 수교하였음. 불교를 진흥시킴  
  ①子 ②子   ①子   ②子   ①子   ①子    
16世 眞진 國국 武무 蓮연 義의 孝효  
  平평 烈열    
  王왕 飯반 王왕 忠충 寬관 芳방 *무열왕 : 신라 제29대 왕(재위 654∼661). 휘 춘추(春秋), 무열왕(武烈王). 654년 진덕여왕이 죽자 진골의 신분으로 군신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함.  
                         
  女휘 女휘   ①子   ①子   ①子   ①子   *선덕여왕:신라 제27대 왕(재위 632∼647).호 : 성조황고(聖祖皇姑), 시호 선덕. 진평왕이 후사가 없이 죽자 왕위를 계승. 634년 연호를 인평이라 고침.  
17世 善德 眞勝 文문 忠충 魏위 宣선  
  德曼 德曼 武무   德덕 *진덕여왕:신라 제28대 왕(재위 647∼654). 휘 승만 선덕여왕의 뒤를 이어 즉위  
  女덕 女승 王왕 弼필 文문 王왕 *문무왕 : 신라의 제30대 왕(재위 661∼681). 휘 법민(法敏) 655년 태자로 책복. 660년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할 때 김유신과 함께 백제를 격멸.   
  王만 王만                    
    x   x   ①子   ①子   ①子       *신문왕:신라 제31대 왕(재위 681~692).자 일초, 휘 정명(政明) ·명지(明之). 자 일초(日膳). 문무왕에 이어 즉위한 후 장인인 소판 김흠돌이 모반을 일으키자 이를 평정 김흠돌을 주살하고 비 김씨를 폐위시킴 국학을 창설하고 학문을 장려하였다  
18世 神신 弼필 孝효  
  文문      
  王왕 肯긍 讓양 *선덕왕:신라 제37대 왕(재위 780∼785). 휘(諱) 양상(良相) 780년 혜공왕이 주색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자 이찬 김지정이 발란을 일으킴. 상대등으로 있던 양상이 김지정의 난을 진압하였다. 이 난중에 혜공왕이 죽자 양상 (선덕왕)이 즉위함  
  ②子     x    
 
 
                     
  ①子         ②子   ①子       *원성왕:신라38대왕. 휘는 경신(敬信) 상대등에 올랐다가 선덕왕이 후사가 없이 죽자 왕이 됨. 인재를 고루 등용함. 왕 5년 벽골제를 증축하여 농사에 힘씀(재위:785-798)  
19世 孝효 聖성 元원  
  昭소 德덕 聖성 *성덕왕:신라 제33대 왕(재위 702∼737)  초명 천중, 휘 융기(隆基) ·흥광(興光)  
  王왕 ④子 王왕 王왕 ④子 *효소왕:신라 제32대 왕. 휘 이홍. 재위{ 692∼702)  
    x
 
         
 
                                       
    ①子 ②子 ③子   ④子   ①子       ②子   ③子     ④子   *효성왕 :신라 제34대 왕(재위 737∼742).본명 : 승경. 아들 없어 793년 동생 헌영을 태자로 책립. 이듬해 후궁이 왕비를 질투하여 살해된 것에 분개한 후궁의 아버지 파진찬 영종이 모반하자 이를 평정함.
20世 重중 守수 孝효 景경 仁인 義의 失실 禮예
  慶경 忠충 成성 德덕  
  王왕 王왕 謙겸 ③子 英영 明명 ②子 英영 *경덕왕:신라 제35대 왕(재위 742∼765). 본명 김헌영(金憲英). 효성왕이 아들이 없어 793년 태자로 책봉 즉위함.
      x   x   x      
 
        x     x
 
     
  *혜공왕 ;신라의 제36대 왕.(재위 765∼780).본명 : 김건운  ①子   ①子   ②子 ③子       ①子   ②子   *소성왕:신라 제39대 왕(재위 798∼800) 휘 준옹.즉위 1년 7개월만에 죽음
21世 惠혜 昭소 憲헌 興흥 憲헌 均균 *헌덕왕:신라의 제41대 왕(재위 809∼826) 본명 김언승(金彦昇).애장왕이 즉위하자 섭정을 하다 809년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즉위함.
  恭공 聖성 德덕 德덕  
  王왕   *흥덕왕:신라 제42대왕(재위826∼836). 본명:경휘(景徽). 초명 수종 ·수승
  王왕 ②子 王왕 王왕 貞정 貞정 ②子 *균정:조카 제륭(희강왕)과 왕권다툼에 패하여 피살됨
              x  
 
    x   x          
 
                     
  *애장왕 ;신라의 제40대 왕(재위:800∼809). 본명 : 청명·중희. 13세에 즉위했으나 숙부 김언승이 섭정을 함. 802년 혜인사 창건. 809년 실권을 장악한 김언승이 반란을 이르켜 애장왕을 살해하고 왕이 됨 ①子 ②子 희강왕;신라43대 왕(재위 836∼838).본명제륭.제옹. 흥덕왕이 후사없이 죽자

삼촌인 균정을 살해하고 왕이 됨. 김명. 이홍이 반란을 일으으키자 목을 매어 자살함.

 

①子   ①子 *신무왕:신라 제45대 왕. 본명:우징(祐徵). 흥덕왕이 죽자 희강왕이 왕을 탐내자 아버지 균정을 왕으로 추대하여 싸웠으나 패배. 이듬해 청해진 대사장보고에게 가 은신. 839년 4월 장보고의 지원을 받아 대군을 이끌고 경주로 쳐들어가 민애왕을 죽이고 왕이 됨. 같은 해 7월 병사함 ②子
22世 哀애 忠충 僖희 神신 憲헌
  將장 康강 武무 安안
  王왕 恭공 王왕 王왕   ③子 王왕
    x      
 
               
 
   
  *민애왕:신라제44대왕(재위 838∼839) 본명:김명(金明). 836년 제륭(悌隆)과 균정(均貞)이 왕위를 다툴 때 제륭을 도와 왕이 되게 하고 자신은 상대등이 됨. 838년 이홍, 배훤백과 희강왕을 협박 자살케 하고 스스로 왕이 됨. 후일 균정의 아들 우징(신무왕)이 장보고의 힘을 빌려 민애왕을 죽이고 왕이 됨. ①子           ①子   ①子     ②子   ③子   ④子   ①女 ②女 ③子
  閔민 啓계 文문 英영 興흥 益익 文문 景경  弓궁
23世 哀애 聖성 懿의 文문  
     
  王왕 明명 王왕 元원 光광 光광 王왕 王왕 裔예
    x                       x             x   x  
  *문성왕:신라의 제46대 왕(재위 839∼857). 본명:김경응(金慶膺). 이때는 신라의 쇠퇴기로 귀족들간 왕위쟁탈전이 성행함. 재위 연간에 많은 반란이 있었다. 841년 일길찬 홍필의 반란. 846년 청해진대사 장보고가 자기 딸을 왕비로 삼게 하려다 실패. 그 보복으로 반란. 847년 양순. 흥종등이 모반. 849년 이찬, 김식, 대흔의 반란 등. 그러나 즉위 초에는 무역을 성하게 하여 많은 이익을 취하였다.     ①子   ①子         자광     문의왕  
  景경   軾산    
24世 文문 安안 식김 경문앙  
  ③子 王왕   ②子     
 
 
     
 
         ↓조     궁예    
  *헌안왕:신라의 제47대 왕(재위 857∼860). 별칭:의정·우정 신무왕의 이복동생 제방을 쌓아 농사를 장려. 후사가 없어 왕족 을렴(경문왕)을 맏사위로 삼아 왕위를 물려 줌. 능은 경주 공작지. ①子 ②子 ③女   ①子   ②子     子자            
  憲헌 定정 眞진 敏민 仁인  
25世 康강 康강 聖성   吉길  
  *경문왕:신라 제48대 왕(재위 861∼875). 본명 : 김응렴 헌안왕이 아들이 없어 왕이 됨. 신라의 쇠퇴기여서 빈번히 일어나는 중앙귀족의 모반과 지방의 반란에 힘씀 女여    
  王왕 王왕 王왕 恭공 慶경  
                              x   x         x 효공왕:신라의 제52대 왕(재위 897∼912). 본명 : 요 893년(진성여왕9년)태자에 책봉 897년 진성여왕이 죽자 즉위898년에 궁예에게 패서도 한산주 관내의 30여 성을 빼앗기고 900년 남서쪽의 땅을 견훤에게, 904년 북쪽의 땅을 또 궁예에게,  907년 견훤에게 일선군 이남의 10여 성을 빼앗기고도 환락의 세월을 보냄
  *헌강왕:신라의 제49대 왕(재위 875∼886). 본명 : 김정. 반란을 도모한 일길찬 신홍 등을 처형. 880년 처용가가 크게 유행. 서울의 민가를 모두 기와로 덮고 숯으로 밥을 짓는 등 사치와 환락의 시대가 이룩되었다. 이때부터 신라는 쇠퇴기에 접어듬. ①子       ①子    
26世 孝효 實실
  恭공 虹홍
  *정강왕:신라 제50대 왕(재위 886∼887). 휘 황. 형 헌강왕이 후사없이 죽자 왕이 됨. 이찬, 김요의 반란을 평정함. 능은 경주 보리사 남동쪽에 있다 王왕   ②子  
    x    
 
  ↓    
  *진성여왕:신라의 제51대 왕(재위 887∼897). 본명: 휘(諱) 만(曼) ·원(垣). 정강왕이 후사없이 죽자 왕이 됨. 여왕은 휘홍과 사통하고 궁중에 미소년을 끌어들여 음행을 일삼았으며 뇌물을 받는 등 궁중의 풍기를 문란케 함. 지방에는 조세가 걷히지 않고 병제가 법대로 시행되지 않아 나라가 소란해짐. 이때 북원에서 양길과 궁예가 봉기. 이를 토평하려다 실패. 892년 완산에서 견훤이 일어나 세력을 확보함. 897년 실정에 대한 책임으로 헌강왕의 서자 요(효공왕)에게 양위한 뒤 그해 죽음 ①子 ②子                    
27世 億억 孝효      
         
  廉렴 宗종      
   x

                   

 

  *경순왕:신라의 왕(재위 927∼935). 본명:부(傅). 927년 후백제 견훤의 침공으로 경애왕이 죽은 뒤 왕이 됨. 재위때는 각처에서 군웅이 할거, 국력이 쇠퇴하고 여러차례에 걸친 후백제의 침공과 악탈로 국가의 기능이 마비되자 군신회의를 통해 고려에 귀부. 태조로 부터 유화궁을 하사받고 왕건의 딸인 낙랑공주를 아내로 맞고 정승공에 봉해짐. 경주를 식읍으로 받았다. 묘는 경기도 연천군 장단면 고랑포리에 있다.   ①子 敬順王                

 

28世 傅부 경순왕  
 

 

 

 

 

(妃): 竹方王后朴氏 出生

(비): 죽방왕후박씨 출생

(繼妃):樂浪公主 王氏 出生

(계비):낙랑공주 왕씨 출생

 

 

 

 

 

 

 

 

 

(石氏 夫人出生)

(석씨 부인출생)

 

 

⑨子

 

 

 

 

 

 

 
 
                     
 
     
  ①子   ②子   ③子   ④子             ⑤子 ⑥子 ⑦子   ⑧子   ⑨子 ①女 ②女 ③女          
29世 鎰일 굉굉 鳴명 殷은 錫석 鍵건 鐥선 錘추 德덕          
  ②子 ②子 鐘종 說열 ⑤子 ②子 摯지             
 
 
 
 
     
 
                   
 
                   
  ①子 ②子 ①子 ②子     ①子 ②子 ③子 ④子 ⑤子 ①子 ②子  
30世 善선 順순 雲운 雨우     泰태 繼계 叔숙 濂렴 碣갈 渭위  
  雄웅 雄웅 發발 發발     華화 령령 承승 翁옹  
              稟言    
    경대  나울     품언  
    주장  주산     수원  
    김군  김김     김씨  
    씨공   씨씨     시조  
        시시        
       조조                          
 
             
여기로 ☞ 安東金氏 分派圖

*편집자 註 : 상기 도표중 울산김씨시조는 <안동김씨 족보>에 경순왕의 9자인 덕지의 子로 기록되어 있으나 2005년 1월 21일, 울산김씨측(홈페이지 관리자 김강씨)으로부터 '울산김씨는 경순왕의 2子인 김굉의 후손에서 분관되었다'는 주장과 정정 요청에 의해 일단 김굉의 후손으로 수정해 놓았으나 사실 여부는 계속 조사 연구중에 있음.

 

 2)  [안동김씨 세부 분파도] : 안동김씨 시조 평장사공(휘 숙승)--충렬공--21개 파조

  [ 安東金氏 分派圖 ]
       
          30世:김씨의 시조 알지에서의 세대수                              
    01世:안동김씨 시조 숙승에서의 세대수    
      01世:안동김씨 중시조 방경에서의 세대수   
      01世: 각 파조에서 세대수    
                  x   ;후손이 없거나 세대가 이어지지 않음 표시                          
                                                             
30世 淑承 安東金氏 始祖. 工部侍郞 平章事. 一名 叔興.  
  01世 숙승    
                                                             
  ①子                                                          
  31世 日兢 金紫光祿大夫 尙書 右僕射 三韓功臣 太師大匡  
02世 일긍  
                                                             
  ①子                                                          
32世 利請 上洛公, 一云 安東太守  
03世 이청  
                                                             
  ①子                                                          
33世 義和 追封 衛尉簿一云 禮部侍郞  
04世 의화  
                                                             
  ①子                                                          
34世 敏成  

文科.  翰林直史館 兼 掌冶署令, 追封 尙書右僕射, 墓 安東府 西 一息, 花林村이나 실전.

 
05世 민성 ⑤子    
 
 
       
  ①子         ②子  

高麗 熙宗(1208) 文科. 正議大夫 兵部尙書 翰林學士 知制誥에 이름. 金紫光祿大夫 三韓壁上功臣 三重大匡 修文殿太學士 判吏兵部御史臺事 中書令에 追贈. 1253(고종40) 11월 15일 졸.(좌측 이름 클릭)

              ③子 ④子 ⑤子
35世 孝恭 孝印 孝효 孝효 孝효
06世 효공 효인 ③子 구구 綬수 租조
   x
 
         
            ①子                                   ②子   ③子   ①子 ①子 ①子
36世   方慶 안동김씨의 중시조 之慶 玄慶 惟善 天錫 天弼
07世   방경 ⑤子 (좌측 이름 클릭) 지경 현경 유선 천석 천필
  01世  
 
            x   x  x

 

 

 

 

 

 

 

 

 

 

 

 

 

 

 

 

 

 

 

 

 

 

 

 

 

 

 

 

 

 

 

 

  37世 수안김씨에서는 [小宣]을 시조로 함 ①子         ②子 ③子               ④子     ⑤자 ①子   ①子        
08世 小宣선 ④子 小斤흔 恂순  
小侖론 ②子 惺성 ②子 焌준 ③子  
02世
 
       
 
            x
 
 
 
     
  ①子   ②子     ③子       ④子 ①子 ①子 ②子 ③子 ④子         ①子   ②子 ①子 ②子 ①子 ②子 ③子    
  38世 資자 承用 承澤 承祐 承固 永暾 永暉 思順 永煦 永照 永曜 永濡 永洙 永星 永奎 永箕  
09世  
승용
②子
승택
②子 승우 승고 영돈 영휘 사순
②子 영조
영요
②子 영유 영수 영성 영규 영기  
03世 爲위                    x                   x   x     x    
    ①子 ②子 ①子 ②子 ①子 ①子 ①子   ①子 ②子 ①子 ①子 ②子 ①子 ①子  
39世 得男         之衍                  
10世
 x
③子  
 
②子
 
③子  
지연
②子      
 
④子  
 
②子          
04世                            x               x         x        

 

40世
11世05世01世

 

 

 

 

 

 

 

 

 

 

 

 

 

 

 

 

 

 

 

 

 

 

 

 

 

 

 

 

 

 

 

 

①子
七祐
칠우
 
②子
七霖
칠림
 
③子
七陽
칠양
 
①子
成牧
성목
 
②子
天順
천순
 
①子
九容
구용
 
②子
濟顔
제안
 
③子
九德
구덕
 
①子
九鼎
구정
 
①子
 
 
 
②子
 
 
 
①子
益達
익달
 
①子
 
 
 
  ①子
士謙
사겸
 
②子
士廉
사렴
 
③子
士安
사안
 
④子
士衡
사형
 
①子
 
 
 
①子
 
 
 
②子
 
 
 
  ①子
 
 
 
        ①子
士사
文문
   

密밀
直직
使사
公공
派파

開개
城성
尹윤
公공
派파

郡군
事사

公공
派파

典전
書서
公공派파 

副부
使사

公공
派파↓

文문
溫온

公공
派파

知지
製제
校교
公공
派파

安안
靖정

公공
派파
 

都도
評평
議의
公공
派파

縣현
監감

公공
派파
x

大대
護호
軍군
公공
派파

提제
學학

公공
派파

判판
三삼
司사
公공
派파

 

判판
事사

公공
派파
x

按안
廉렴
使사
公공
派파

忠충
康강

公공
派파
x

翼익
元원

公공
派파

書서
雲운
觀관
公공
派파

判판
書서

公공
派파
x

正정
儀의

公공
派파

 

兵병
使사

公공
派파

 

 

 

 

 

 

 

 

           
  ☞01 ☞02 ☞03 ☞04 ☞05 ☞06 金阜 ☞07 ☞08   ☞09 ☞10 ☞11     ☞12   ☞13 ☞14   ☞15                  





함경
경기

 

 

 

 

서울
경기

 

 


 

전남
강진
경기
평택
파주

 

 

충남
충청

 

 

 

 

북한
강원
철원
전북
순창

 

 

의성
다인
예천
정읍
포천
음성
괴산

 

 






 

 

공주
정안

 

 

 

의성
대구

 

 

 


함평
보성

 

 

 

 

괴산
천안산청
성주
밀양
거창대구


부천

 

 




오창
증평
괴산
진천
천안여주삼척광주

 

용인
청원
산청
부여
안동
영주
의령대구강릉고창
서울
경기
광주
부천

 

 

 

강원
예천
봉화
안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