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통제기란 고대 중국에서는 청동제 제기와 죽제품인 변, 목제품인 두 등이 사용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주로 나무로 만든 목기나 놋쇠로 만든 유기를 함께 사용했다. 그러나 요즘에는 ?????녹이 잘 나는 유기보다는 스테인리스 스틸 그릇이 사용하고 관리하는 데 편리할 것이다.
- 시 접 : 수저를 올려 놓는 제기로서 대접과 모양이 비슷하다.
- 탕 기 : 탕과 국을 담는 제기로서 여러 모양의 것이 있다.
- 두 : 김치와 젓갈을 담는 그릇으로 굽이 높고 사각형이다.
- 떡그릇(병대) : 떡을 담는 제기로서 위찬이 사각형이다.
- 모삿그릇 : 모래와 띠의 묶음을 담는 그릇으로서 보시기처럼 생겼으며 굽이 높다.
- 준 항 : 술을 담는 항아리이다.
- 준 작 : 주기로서 사기나 구리로 만든다. 꼭지가 있고 굽이 있는 것을 이라 하며 준에는 소
모양의 희준, 코끼리 모양의 상준 등이 있으면 작은 새 부리 모양으로 생겨 술을 따르는 데 쓰인다.
- 변 : 과실과 건육을 담는 제기로 받침을 높게 하여 대나무로 엮어서 만들었다.
- 조 : 고기를 담는 도마 모양의 제기로 받침이 달려 있다.
- 수 저 : 숟가락과 젓가락이다. 제사지내는 신위의 수에 따라서 시접에 담는다.
- 잔 반 : 잔은 술잔이고 반은 받침대이다. 받침대에 받친 술잔으로서 신위의 수대로 준비하고
따로 강신 잔반을 하나 더 준비한다. 내외분을 제사지낸다면 고위 잔반, 비위 잔반, 강신 잔반등 세 벌이 있어야 한다.
- 주전자 : 주전자를 깨끗이 씻어 놓는다.
- 퇴주기 : 빈 대접 하나를 준비한다.
- 사각 접시 : 떡을 괴는 편틀, 적을 얹는 적틀, 포와 조기를 담는 접시 등은 사각형의 판 밑에
굽(다리)이 달린 그릇을 쓴다. 대개 떡을 괴는 편틀은 정사각형이고, 기타의 사각 접시는 직사각형이다.
- 둥근접시 : 과실, 전, 나물 등은 둥근 접시에 담는데 이것은 둥근 판에 굽을 단 것이다.
- 술 병 : 목이 긴 자기로 된 병이다. 그 외에는 통상적인 식기, 탕기, 대접을 써도 된다. 특별히
제기를 마련 할 수 없으면 통상적인 그릇을 깨끗하게 씻어서 쓰면 된다.

제구는 제례를 올리는 데 필요한 기구를 총칭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릇류는 보통 제기라고 부른다. ?????제례에 사용되는 제구는 제례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 병 풍 : 제사 지낼 장소의 뒤와 옆 등을 둘러친다. 현란한 그림이 그려졌거나 경사 잔치에 관계
되는 내용의 글씨가 있는 것은 피한다
- 교 의 : 신주나 위패를 봉안하는 의자로서 제상이 높으면 교의도 높아야 하고 제상이 낮으면
교의도 낮아야 한다. 요즈음에는 신위를 보통 제상 위에 봉안하고 있으므로 따로 준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 신위판 : 제사 도중 지방을 붙여 놓을 비품이다. 이는 예전의 신주를 대신하는 것이므로 신주
형태의목패로 제작하여 의자나 제상에 세워 놓거나 작은 사진액자 모양의 목판으로 제작하여 기대어 놓아도 무방할 것이다. 신주는 조상의 넋이 깃드는 상징물로서 평소에는 사당에 봉안하여 그 관리와 예법이 대단히 엄격하고 까다롭지만, 신위판은 임시로 지방을 붙여 놓는 기구에 불과 하므로 특별히 관리할 필요는 없다.
- 제 상 : 제사 음식을 차리는 상이다. 120*80센티미터 정도가 되어야 제수 진설에 적당하다. 엣날
에는 제상의 다리가 매우 높게 특별히 제작하였지만 오늘날에는 일반 교자상 형태로 준비하여도 무방하다.

- 향안 : 향상이라고도 한다. 향로와 향합, 모삿그릇을 올려 놓는 작은 상이다.
- 주가 : 주전자, 현주명, 퇴주기 등을 올려 놓는 작은 상이다.
- 소탁 : 축판을 올려 놓고 신위를 봉안하기 전에 임시로 모시는 작은 상이다
- 소반 : 제사 음식을 진설하기 위해 옮길 때 쓴다.
- 촛대 : 제상에 촛불을 밝히기 위한 도구이다. 좌우 한 쌍을 준비한다.
- 향로 : 향을 사르는 기구이다. 향을 사르는 것은 강신 때 양지(하늘)에 있는 신(혼 )을 부르기
위한 의식이다.
- 향합 : 향을 담아 놓는 그릇이다.
- 모사기 : 모래와 띠 묶음을 담는 그릇이다. 강신 때 뇌주를 여기에 붓는다. 이는 음지(땅)에 있는
신을 부르는 의식이다. 형태는 보통 굽이 있는 꽃꽂이 수분과 유사하다. 여기에 깨끗한 모래를 담고 띠 한 품을 한뼘 정도로 잘라 가운데를 붉은 실로 묶어서 모래에 꽂는다. 이것은 땅을 상징하는 것이다. 묘지에서의 제사는 땅에다 뇌주를 붓게 되므로 모사기를 쓰지 않는다.
- 축판 : 축문을 끼워 놓는 뚜껑이 붙은 판이다. 크기는 사방 30센티미터면 적당하다. 오늘날에는
결재판과 같은 파일이나 흰 봉투로 대신하는 것도 무방하다.
- 자리(석) : 마루나 방에서 지낼 때는 하나면 되지만 묘제에서는 바닥에 깔 만큼 준비해야 한다.
- 지필묵연함 : 축문을 쓰거나 지방을 쓰기 위한 한지, 붓, 먹, 벼루 등을 담아 두는 함이다.
|
 |
|
? |
지방이란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 대신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친 직후 태워버립니다.
?????옛날에는 사진이 없어서 돌아가신 분에 대한 상징을 글로 표시하여 지방을 썼으나, 지금은 ?????사진이 있으니 사진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면 더욱 좋습니다.
?????보통 지방은 한자로 작성하여 왔지만, 요즘 들어서는 쓰기 쉽고 이해하기도 쉬운 한글지방을 ?????사용하는 경우도 크게 늘고 있습니다.
남자조상의 지방 |
여자조상의 지방 |
 |
해석 및 용례
顯 : 존경의 의미로 지방 첫글자에 ??????항상 붙음.
考 : 모시는 대상 표시. '考'는 돌아 ??????가신 아버지를 의미. 아버지 : 顯考 할아버지 : 顯祖考 증조할아버지 : 顯曾祖考 고조할아버지 : 顯高祖考 백부 : 顯伯父 형 : 顯兄
學生 : 조상의 지위 표시. '學生'은 ??????관직이 없는 경우임. ??????관직,사회직함, 학위등이 있다면 ??????그 명을 씀. (東來府使, 國會議圓, 大法官, 社會事業家, 法學博士 등)
府君 : 제사 대상이 자신의 윗사람인 ??????경우에 사용. ??????제사 대상이 자신의 아랫사람인 ??????경우는 직접 이름을 씀.
神位 : 조상의 자리를 의미.
|
 |
해석 및 용례
顯 : 존경의 의미로 지방 첫글자에 ??????항상 붙음.
비 : 모시는 대상 표시. '비'는 돌아 ??????가신 어머니를 의미. 어머니 : 顯비 할머니 : 顯祖비 증조할머니 : 顯曾祖비 고조할머니 : 顯高祖비 아내 : 亡室
孺人 : 조상의 지위 표시. '孺人'은 ??????지위가 없는 경우임.관직,사회 ??????직함, 학위등이 있다면 그 명을 ??????씀. (貞敬夫人, 利花女大總長, 社會事業家, 法學博士 등)
全州李氏: 본관, 성씨 표시. 부인이 두분 이상인 경우 구분하기 위함임.
神位 : 조상의 자리를 의미. |
지방을 작성하는 법은 원래 정해진 규격이 없으나 전통적으로 깨끗한 한지를 폭 6㎝, ?????길이 22㎝ 정도의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위쪽을 둥글게 오려서 사용합니다. 위를 둥글게 ?????하고 아래쪽을 평평하게 하는 까닭은 천원지방(天圓地方: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을 상징한 ?????것입니다. 한 장의 지방에 남여 조상 두 분의 신위를 쓸 때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은 남자조상을 ?????쓰고, 오른쪽은 여자조상을 쓰며 세로쓰기를 합니다. 만약 여자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자조상의 ?????바로 오른쪽에서부터 계속 씁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