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문관(文官) 종구품(從九品) 최말단 관직이다.
종친부(宗親府), 돈령부(敦寧府), 봉상시(奉常寺), 사옹원(司饔院), 내의원(內醫院), 군기시(軍器寺), 군자감(軍資監), 관상감(觀象監), 전의감(典醫監), 사역원(司譯院), 선공감(繕工監), 사재감(司宰監), 전연사(典涓司), 소격서(昭格署), 사직서(社稷署), 제용감(濟用監), 전생서(典牲署), 오부(五部), 예빈시(禮賓寺), 혜민서(惠民署), 전옥서(典獄署), 활인서(活人署), 문소전(文昭殿), 연은전(延恩殿), 경기전(慶基殿), 영희전(永禧殿), 만녕전(萬寧殿), 안릉(安陵), 지릉(智陵), 숙릉(淑陵), 의릉(義陵), 순릉(純陵), 정릉(定陵), 화릉(和陵), 건원릉(健元陵), 제릉(齊陵), 정릉(貞陵), 후릉(厚陵), 헌릉(獻陵), 영릉(英陵), 현릉(顯陵), 장릉(莊陵), 사릉(思陵), 광릉(光陵), 경릉(敬陵), 창릉(昌陵), 공릉(恭陵), 선릉(宣陵), 순릉(順陵), 정릉(靖陵), 온릉(溫陵), 희릉(禧陵), 태릉(泰陵), 효릉(孝陵), 강릉(康陵), 목릉(穆陵), 장릉(章陵), 장릉(長陵), 휘릉(徽陵), 영릉(寧陵), 숭릉(崇陵), 명릉(明陵), 익릉(翼陵), 의릉(懿陵), 혜릉(惠陵), 원릉(元陵), 홍릉(弘陵), 영릉(永陵), 건릉(健陵), 인릉(仁陵), 수릉(綏陵), 경릉(景陵), 예릉(睿陵), 현륭원(顯隆園), 휘경원(徽慶園), 숭의전(崇義殿: 麗陵), 태일전(太一殿), 숭덕전(崇德殿), 숭인전(崇仁殿), 숭령전(崇靈殿) 등에 두었다.
전(殿)‧묘(廟)‧릉(陵)에는 1원씩, 숭의전에 2원, 숭덕전에 1원, 숭인전에 2원, 숭령전에 2원을 두었으며,
돈령부‧봉상시‧내의원‧군기시에 각 1원씩, 예빈시‧관상감‧전의감‧사역원‧전옥서에 각 2원씩 두었다. 이 밖에 선공감, 사재감, 전연사, 소격서,
사직서, 제용감, 전생서, 오부, 태일전 등에는 중기 이후에 폐지하였다.
'일 반 상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슬직위에 대한배우자명칭 (0) | 2016.05.26 |
---|---|
문산계 (0) | 2016.05.26 |
통덕랑 정5품 벼슬 (0) | 2016.05.25 |
조선시대 계급 정과 종의 차이 (0) | 2016.05.25 |
조선시대 관직과 품계 비교표 (0) | 2016.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