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 제도의 특징/양반/중인/상민/천민
조선 시대의 신분 제도는 고려 시대부터 내려온 전통적인 사회적 기반과 유교적 이념에 바탕을 두었다.
[신분 제도의 특징]
1. 신분의 분화 과정
(1) 건국 이후 차츰 기틀이 잡혀 감에 따라 사회 신분 제도도 점차 확고해졌다. 유교적 조선 사회의 신분 계급은 초기에는 양인과 천민의 두 계층으로 나뉘어 있었다.
(2) 그러다가 지배 계층으로서 양반을 비롯해 하급 관리, 지방 행정 협력자, 기술 관직에 종사하는 중인, 그리고 피지배 계층으로서 농업과 상업, 수공업에 종사하는 상민과 원래부터 차별을 받아 오던 천민으로 나뉘었다.
1. 신분의 세습과 차별
(1) 사회적 신분은 세습되는 것이어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고는 신분의 변하지 않았다.
(2) 신분은 직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고, 그 신분에 따라 사회적 대우는 물론 일상생활에까지 여러 가지 차별이 뒤따랐다. 즉, 관등의 직위와 직업에 따라 대우가 다를 뿐 아니라 거주지와 의복, 혼인까지도 일정한 규정이 있어서 마음대로 행하지 못하였다.
[양반]
조선은 양반 중심의 사회였다.
1. 양반의 유래
양반이란 원래 문관인 동반과 무관인 서반을 함께 부르던 말로, 관직을 차지한 지배 계층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었다. 이것이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는 벼슬하는 사람만이 아니라 벼슬을 할 수 있는 신분을 가리키는 말로 뜻이 바뀌었다.
2. 지배 계층
조선 초기만 해도 양반은 천인에 대비되는 양인이라는 신분에 속하는 관리를 가리켰다. 그러나 차츰 왕권이 확고해지고 관료 조직이 굳어져 가는 가운데 관리들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졌다. 마침내 양반은 지배층으로서 향리나 농민과는 뚜렷이 구별되는 신분으로 자리를 굳혔다.
3. 양반의 직업
양반은 독서를 하거나 관직에 종사하는 지배 계층으로 농업이나 공업, 상업 등의 산업 활동이나 기술직에 관계하지 않았다. 양반은 유교적 내용을 담은 경서와 역사 기록인 사서를 주로 읽고, 과거를 거쳐 벼슬길로 나갔다. 관리가 되면 국가로부터 토지와 곡식을 받아 지주 계급을 형성하였다.
[중인]
양반 다음의 신분 계급은 중인이었다.
1. 중인의 신분과 직업
(1) 지배 계급인 양반과 피지배 계급인 상민 사이에 있는 신분이다.
(2) 중인은 대개 역학(통역), 법률, 천문, 지리, 의학 등 기술직에 종사하였다. 또한, 중앙이나 지방의 각 관청에서 실무 행정을 맡았던 아전(서리)이나 하급 장교인 군교들도 중인이었다.
(3) 중인은 벼슬을 할 수는 있었으나 지위 향상은 바랄 수 없었다. 그러나 기술과 실무 담당자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이득을 누릴 수 있었고, 나름대로 행세를 할 수 있었다.
(4) 중인의 직업은 원칙적으로 모두 자손에게 세습되었다.
2. 중인과 양반과의 관계
중인은 각종 실용 기술과 행정 말단의 실무를 담당하였기 때문에 조선 사회를 실질적으로 운영한 계층이다. 다시 말해 중간 계층인 중인은 양반들이 수립한 정책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면서 양반 정치를 보좌하였다.
[상민]
백성의 대부분은 상민이었다. 상민은 농업이나 공업, 상업 등의 생산 활동에 종사하면서, 나라에 대해서 조세와 공납, 부역의 의무를 졌다.
1. 농민
(1) 상민의 대부분은 농민인데, 농민들은 자기의 농토를 경작하거나 개인 또는 국가 소유의 농토를 빌려 농사를 지은 뒤 국가나 지주에게 조세를 바치고 남은 양식으로 살아야 했기 때문에 생활이 몹시 어려웠다.
(2)농민들은 지방 특산물에 대한 현물세로 각종 토산물을 나라에 바치는 공납의 부담도 져야 했다.
2. 수공업자와 상인
상민의 일부는 수공업이나 상업에 종사하였는데, 이들은 농민보다 더 낮은 신분 계급에 속하였다. 생산 활동이나 상업 활동은 정부로부터 통제를 받았고 과중한 의무와 관료들의 착취로 생활이 아주 비참하였다.
3. 군역과 부역의 의무
상민들은 16세 이상 60세까지의 장정이면 누구나 군역과 부역의 의무를 져야 했다.
(1)군역의 의무는 점차 군포를 바치는 제도로 바뀌어 갔다.
(2) 부역은 궁궐이나 왕릉, 도로, 제방, 성 등의 축조와 보수를 위한 토목 공사나 광산 노동 등에 동원되는 것이다.
4. 소작농이나 노비로 전락
상민들은 양반이 면제받는 각종 부담까지 떠맡았다. 따라서 농민은 노비나 다름없었으며, 실제로도 농장이 확대되면서 농민들은 소작농이나 노비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았다.
[천민]
천민은 사회의 최하층으로 천한 신분이었다.
1. 천민의 분류
(1) 천민의 대부분은 노비들로서, 관청(공노비)이나 개인(사노비)에게 예속되어 있으면서 노동에만 종사하는 가장 천대받는 계급이었다.
92) 노비 외에 광대와 사당, 무당, 기생, 백정 등도 천민에 속하였다.
2. 노비
(1) 천민 중에서도 특히 노비는 인격이 전적으로 무시되었으며, 재산과 같이 취급되어 매매와 증여, 상속의 대상이 되었다.
(2) 아버지의 신분이 아무리 높다 해도 어머니가 종이면 그 자식은 노비가 될 수밖에 없었다.
'일 반 상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조정랑 (0) | 2016.05.27 |
---|---|
과거제도 (음양과) (0) | 2016.05.27 |
벼슬직위에 대한배우자명칭 (0) | 2016.05.26 |
문산계 (0) | 2016.05.26 |
참봉 직책 (0) | 2016.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