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무관 계급(품계, 관직)
품계 |
관직 |
설명 |
임진왜란시 재임자 |
정1품 (참모총장급) |
도제조 |
의정(議政)이나 의정을 지낸 사람을 임명하였으나, 실무에는 종사하지 않는 자문 명예직 |
|
종1품 (군사령관급) |
제조 |
|
|
정2품 (군단장급) |
조선 시대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서 군무(軍務)를 총괄하던 최고 관직 |
||
일반적으로 전시에 부여되는 임시 관직, 군정(軍政) 양쪽을 통솔하는 역할로 인해 보통 문관 중에서 최고위 관료가 임명 |
권율 | ||
장용사 |
장용영 :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국왕 호위 군대 |
||
종2품 (중장급) |
감사(監司):관찰사 |
각 도의 행정 최고 책임자. |
|
병사(兵使):부총관 병마절도사 | 각 도의 육군 최고 책임자. (감사보다 아래 계급) | ||
겸사복장 | 겸사복 : 국왕 호위를 맡은 정예 기병대 | ||
별장 (용호령) | |||
수군통제사 | 충청수영,전라좌우수영,경상좌우수영의 삼도 수군을 모두 통제 | 이순신(or 원균) | |
내금위장 (영조때 정3품으로 변경) |
내금위 : 왕의 호위군 내금위장은 따로 뽑지 않고 보통 다른 관직에서 겸직 |
||
중군(中軍) | |||
정3품 (소장급: 사단장) |
병마절제사 |
|
|
수사(水使):수군절도사 | 각 도의 수군을 지휘, 감독. | 이순신, 원균, 이억기, | |
종3품 (준장급: 여단장) |
첨사(僉使):병마첨절제사 |
|
|
첨사(僉使):수군첨절제사 | |||
병마우후(兵馬虞候) | |||
도호부사(都護府使) | 동래부사 송상현 | ||
정4품 (대령급: 연대장) |
수군우후(水軍虞候) |
|
|
군호 | |||
수문장(守門將) | 도성 수문장, 왕궁 수문장, 각전 수문장 | ||
종4품 (중령급: 대대장) |
병마동첨절제사 |
|
|
만호(萬戶) | 주민가구수가 1만가구정도의 행정 치안 수비병력지휘하는 직위 | ||
정5품 (소령급) |
|
||
종5품 |
|
||
정6품 (대위급) |
|
|
|
종6품 (중위- 대위급) |
|
||
주부(主簿) | |||
현감(縣監) | |||
척후장(斥候將) | 총리영(摠理營)에 두었던 서반 무관직 | ||
정7품 (중위급) |
사정(司正: 正七品) |
|
|
참군(參軍) | |||
종7품 (고참소위급) |
부사정(副司正: 從七品) |
|
|
정8품 (소위급) |
사맹(司猛) |
|
|
좌시직(左侍直) | 세자를 호위하는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에 소속된 무관 | ||
종8품 (상사급) |
부사맹(副司猛: 從八品) |
|
|
봉사(奉事) | |||
정9품 (상,중사급) |
사용(司勇: 正九品) |
|
|
좌세마(左洗馬), 우세마(右洗馬) | 세자를 호위하는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에 소속된 무관 | ||
종9품 (하사급) |
부사용 별장(副司勇: 從九品) |
|
|
권관(權管) | |||
|
|
|
'일 반 상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고학생 부군신위의 뜻 (0) | 2018.09.14 |
---|---|
대한민국 성씨의 역사 (0) | 2018.07.30 |
블로그에 사진. 올리는 방법 (0) | 2018.06.21 |
순충 보조공신(증직) (0) | 2018.06.06 |
전세권 설정 (0) | 2018.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