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 반 상 식

현고학생 부군신위의 뜻

by "율문" 2018. 9. 14.

집집마다 제사를 지낼 때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현고학생부군 신위"의 뜻은 과연 무엇일까?

 

현 = 모습을 나타내 주십시오. 후손이 정성껏 지내는 이 제사에...
고 = 돌아가신 아버님. 이 글자는 후대에 내려와서는 "생각하다"란 뜻으로도 쓰임.
학생 = 품계나 관직이 없는 분을 일컫는 말. "진사" "생원"도 못 딴 사람임
부군 = 돌아가신 조상님을 높여서 부르는 호칭
신위 = 신령님. 동양에서는 돌아가신 조상님도 "신"으로 모심.

 

그러니까 돌아가신 아버님이 생전에 아무런 품계도 벼슬도 하지 못한 경우에 사용하는 표현이라고 보면 됩니다.

돌아가신 분이 정1품 영의정에다 문정공이란 시호를 나중에 받았다면
<현고대광숭록대부영의정시문정공부군신위>라 쓴다는 이야기입니다.

품계란 요즈음의 이사관, 서기관, 사무관, 주사, 서기 등과 같은 것이어서 조선 시대에는 대광보국숭록대부, 숭정대부, 자헌대부, 가선대부, 통덕랑, 봉직랑 등이 있었다고 합니다.

현대식으로 지방을 써서 붙인다면
<현고서기관인천광역시교육청○○과장부군 신위>
라고 써야 되겠지요. 그런데 요사이에는 무조건 다 "학생부군"이라고들 하고 있지요.

여자분들에 대한 제사를 지낼 때에는
<현비유인김해김씨 신위>
라고 쓰고들 있는데,

여기서 "유인"이라 함은 원래 남편이 종9품 하급관리였을 때에만 그 배우자에게 붙여 주는 호칭인데요. 사실 "학생부군"의 배우자에게는 맞지 않는 호칭이긴 하지요.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마구 쓰고 있는 편이지요.

관리들 배우자의 호칭도 품계에 따라서 다 달랐는데, 정경부인, 정부인, 숙부인 등이 고위 관리들 사모님들이고, 숙인, 영인, 공인 등은 하위 관리들의 사모님들 호칭이었습니다.
근데, 요즈음에는 아무에게나 다 "부인"이라고 하지요.

물론, 이러한 것들은 모두 제사를 지낼 수 있는 양반네들에게만 한정된 법도이지요.
지금은 아무 집에서나 다 제사를 지내고 있지만
불과 100년 전까지만 해도 평민들에게 제사는 엄두도 못내는 일이었지요.

말 나온 김에 오늘은 제사에 관한 이야기를 좀 해야 되겠군요

제사란 원래 관리자들이 자연신이나 조상신에게 예를 갖추어 음식을 올리는 의식을 말하는 건데요....

우선 자연신부터 먼저 약간 설명하고 조상신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