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 狀 |
고려와 조선시대에 죽은 자의 이력과 행적을 기록한 글. |
연보年譜라고도 한다. |
행장이 언제부터 작성되기 시작했는가는 불분명하다. |
오늘날 전하는 행장 중 가장 연대가 앞선 것은 1265년(원종 6)에 작성된 민적閔頔의 행장이다. |
행장은 시호· 비명· 묘지명 작성의 토대가 되는 것이다. |
고려에서 시호를 내리는 일을 관장하던 전의시典儀寺가 |
목종대에 그 기능과 직제가 정립된 것으로 보아, |
행장은 늦어도 목종대 이전부터 작성되었다고 추측된다. |
이후 행장은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계승되었고, |
유학의 발전 및 유교문화의 융성과 함께 보편화되었다. |
행장의 내용은 작성시대와 작성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
그러나 현존하는 고려·조선 시대의 행장을 보면 대개 ① 행장인의 관직, ② 성명, ③ 본관·가계, |
④ 출생년 ⑤ 성장, 수학 과정 ⑥ 출사로出仕路, 역관歷官, 행적, 공적 ⑦ 졸년 ⑧ 장지 |
⑨ 부인, 부인가계 ⑩ 성품 ⑪ 자손 ⑫ 행장 작성자의 순서로 구성되었다. |
행장은 위로는 왕, 대신, 재상으로부터 |
아래로는 벼슬하지 않은 유학에 이르는 인물 모두가 작성의 대상이 되었다. |
행장의 작성자는 행장인의 기호·지위·학행·재행 등과 관련되어 다소 차이가 있었다. |
행장인 자신이 평소에 행장을 지어두었다가 자손에게 전하는가 하면, |
왕명에 따라 문장에 능한 관인이 작성하거나, |
행장인의 자손의 청탁에 따라 친구나 문인 또는 자손들이 작성하기도 했다. |
이중 조선 후기에 들어 종2품 이하 관인 및 유학에 있어서는 문집의 간행이 성행하고, |
그 문집에는 문집의 주인공과 그 후손의 연보나 행장을 수록하게 했는데 |
대개 교우 또는 문인이 행장을 작성했다. |
행장은 한 가문의 행적을 기술한 가장家狀과 함께 |
〈조선왕조실록〉의 졸기, 비명, 묘지, 묘갈명, 연보 등을 작성하는 데 기초가 되었고, |
증시의 대상이 되는 관인(정2품 이상), 공신(친공신)의 경우에는 시호 상정의 토대가 되었다. |
행장은 해당 인물에 관한 가계, 출사로, 역관, 치적, 공적, 교우관계 등이 |
종합적으로 기록된 일대기이므로 해당 인물의 구체적인 행적을 연구하는 기초 자료가 된다. |
그런데 행장은 비명, 묘지, 묘갈명과 같이 그 작성자가 행장인과 친분이 깊은 인물이거나 |
자손 등이 되기 때문에 공이 주가 되고 허물은 제외되기 쉬우므로 |
이것의 이용과 해석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
행장은 각 개인의 문집의 말미, 족보의 초두에 부록으로 놓여 있는 경우가 많다. |
〈국조인물고〉·〈동문선〉 등의 문헌에도 여러 사람의 행장이 수록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