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21 조선시대 세부내역 (품계와 관직표) ※.조선시대의 관직은 크게 문관직과 무관직으로 나누며 직급은 1품에서 9품까지, 각 품은 정과 종으로 나누어 져 총 18직급이 있으며, 정1품이 종1품보다 더 상위 직급. 품 계(品階) 관 직 명(官職名) 품 계(品階) 관 직 명(官職名) 정 1 품 (국무총리) 영의정 좌의정(문관) 우의정 도제조(이상.. 2018. 12. 29.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관직표 구분 현재관직 고려시대 관직 조선시대 관직 품계 현재 직위 품계(官職과 品階) 동반(문반) 서반(무반) 외명부 종친계 의빈계 잡문반 잡무반 토문반 토무반 관 정1품 국무총리 太師(태사): 태부(太傅), 태보(太保) 삼중대광(三重大匡),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태위(太尉), 사.. 2018. 12. 29. 고려시대 품계.관직표 고려시대 관직 및 품계 품 계 무관직 문관직 정1품 태사, 태부, 태보, 대위, 사도, 사공 종1품 중서령, 문하시중, 상서령, 6부 판사 (재상겸직) 감수국사(시중 겸직), 판삼사사(삼사) 정2품 중서시랑평장사, 문하시랑평장사(중서문하성) 좌우복야(상서성), 수국사, 동수국사(재상겸직) 종2품 참.. 2018. 12. 29.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2) 1) 품 계(品 階) 품계는 시대에 따라 다르며, 문관과 무관에게 주는 명칭도 각기 달랐고 중앙과 지방의 향직(鄕職)도 9품의 상하구분이 있었다. 신라 때는 골품제도(骨品制度)를 토대로 귀족 연합의 전통 위에 형성되어 1등급인 이벌찬에서 17등급인 조위까지 구분.. 2018. 12. 29. 고려 전서 전서 1. 조선조 초엽 육조의 으뜸 벼슬. 품계는 정3품. 태종 5년(1405)에 판서로 고쳤음 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전리사 · 군부사 · 판도사 · 전법사의 4사(司)를 없애고 선부 · 민부 · 언부를 두고 그 으뜸 벼슬인 판서를 고친 이름. 2018. 12. 29. 보문각 보문서 청연각(淸讌閣)이 궐내에 있어 학사들의 직숙(直宿)에 어려움을 겪자, 1116년(예종 11) 홍루(紅樓) 아래에 있는 남랑(南廊)을 수리해 학사들이 회강(會講)하는 당으로 만들었다 이를 정의당(精義堂)이라 한 뒤, 그 좌우를 휴식처로 삼고 보문각으로 이름을 고쳤다. ‘보문(寶文)’이란 송나라.. 2018. 12. 29. 이전 1 ··· 78 79 80 81 82 83 84 ··· 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