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21

첨악공 (세용) 행장록 최세룡(崔世龍) 隋城崔氏 첨악공(瞻嶽公) 행장록(行狀錄) ❍시 대 : 조 선 ❍출 생 : 1509年 己巳(중종4년) ❍사 망 : 1594년3월15일 甲午(선조27년) ❍경 력 : 대가[代加]교지(敎旨) 품계(品階)종4품 조봉대부(朝奉大夫) ❍직 업 : 학자(學者) 문인(文人) ❍성 별 : 男 ❍자녀 : 一男 三女 ❍본 관 : 수.. 2018. 12. 28.
고려.조선시대 관직해설 ⊙가감역관(假監役官) 조선시대 토목(土木), 영선(營繕)을 담당하던 종9품의 임시관직. ⊙가덕대부(嘉德大夫) 조선시대 종 1품의 종친에게 주던 관계(官階). ⊙가선대부(嘉善大夫) 조선시대 관계(官階). 종 2품으로 문(文) 무반, 종친이 받음. ⊙가의대부(嘉義大夫) 조선시대 관계(官階). 종 2.. 2018. 12. 25.
고려 시대의 봉작 및 관직표 고려 시대의 봉작 및 관직표(충선왕 즉위년, 1298) 2018. 12. 24.
대가제도 대가 (代加) 조선시대 문·무의 현직 관원이 자궁(資窮) 이상이 되면, 자신에게 별가(別加)된 산계를 대신 아들·사위·아우·조카 등 친족 가운데 한 사람에게 대가(加)해주는 제도. 자궁은 계궁(階窮)이라고도 하는데 정3품 당하(堂下)의 산계(散階)를 의미한다. 당상관으로 오르는 것을 .. 2018. 12. 21.
조선시대 현량과 현량과(賢良科)는 조선시대 선거제도(選擧制度)의 하나로, 경학(經學)과 덕행(德行)을 기준으로 인재를 천거하여 관리로 선발하는 제도이다. 기존에 시행하던 과거제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제안된 현량과는 중종(中宗)과 사림파를 주축으로 하여 실시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28인의 급제.. 2018. 12. 15.
첨악공(세용) 행장록 본관 ; 수성최씨 諱 ; 세용(世龍) 호 ; 첨악(瞻 嶽) 첨악공종중회장 ; 최 승 근 총무이사 ;최 덕 희 선생에 휘는 세용(世龍) 이시오 호는 첨악(瞻嶽)이라 하시니 회석 선샌의 아우시오 시은 선생의 막내 아드님으로서 천성이 평화로우시고 지조가 고상하시와 문학에 덕이 있으시므로서 착한 .. 2018.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