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21 안무사. 순무사 안무사 1012년(현종 3)에 절도사제(節度使制)를 폐지하고 75도(道)에 안무사를 파견하였으나 1018년에 폐지되었다. 이때에 안무사는 75도가 아니라 양주·광주·충주·청주·진주·길주·황주 등의 7주에 파견된 것이라는 설도 있다 1107년(예종 2)에 백성의 질고와 수령의 전최(殿最 : 관리의.. 2018. 11. 21. [스크랩] 조선조의 대가(代加) 제도에 대하여 -통덕랑 등- 조선조 대가(代加)제도 - 통덕랑 등에 대하여 장달수 우리나라의 족보를 보면 관직에 나가지 않았는데 통덕랑(通德郎) 통사랑 (通仕郞) 장사랑 (將仕郞) 등등이 보이고 부인에게도 공인. 의인 유인 등으로 올라있어서 이에 대한 대강을 정리해 보았다. 조선시대의 代加制度는 양반사회가 .. 2018. 11. 20. 대가제도 대가(代加) 또는 대가제(代加制)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고관대작의 자손들 중 과거 시험에 합격하지 못했고, 음서 제도로도 관직에 오르지 못한 자를 구제하기 위한 제도였다. 고려와 조선시대에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당하관 이상의 벼슬을 지냈으나 그 아들, 손자, 아우, 사위, 조카, 사촌.. 2018. 11. 20. 증직제도 국가에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죽은 뒤에 품계 · 관직을 추증(追贈)하여 영예를 누리게 한 일. 삼국시대부터 행하여졌으나, 제도화된 것은 고려시대부터이다. 988년(성종 7) 문무상참관(文武常參官) 이상의 부조(父祖)를 봉작한 이른바 추은봉증(推恩封贈)을 실시하면서부터이다. 1391년(공.. 2018. 11. 20. 조선시대 공신 이 곳은 조선시대때 공신자들의 명단을 정리하였습니다. 고서에 있는 자료마다 인원수가 약간씩 달라서 애매한 부분이 있지만 미미한 차이었으며 참고 하시라고 올려 놓았습니다. 원종공신까지 더하면 수천명이 된다는데 자료를 구할 수가 없어서 올리지 못하였습니다. 원종공신의 명.. 2018. 11. 18. 수성최씨 세조16세 양막공손이하 합동시제 2018년11월17일(토) 음(10.10) 오전10시 회장 최일혁 외 22명 참석하여 진설하고 시제는 11시 부터지내고 11시40분에 제례봉행 끝마치고 툇골 느티나무식당(대표 최승만) 갈비탕으로 점심식사 하였다. 회비는 16세 생존하여 있는 남자 자손만 1인당 년회비 100.000원 납부하고 여자만 있는 집안은 5... 2018. 11. 18. 이전 1 ··· 82 83 84 85 86 87 88 ··· 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