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21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표 조선시대 품계 & 관직표 동반관직 - 문관의 품계-정1품(종1품)부터 정9품(종9품)까지 18품계. 서반관직 - 무관의 품계-정1품(종1품)부터 정9품(종9품)까지 18품계. 관직의 정식 명칭 - 계(품계의 명칭) · 사(소속된 관청) · 직(맡은 직분)순으로 썼다.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 - 대광.. 2018. 11. 16.
6조 편재 조선시대에 들어와 1405년(태종 5)에는 도평의사사를 폐지하고 의정부를 설치했으며, 사평부(司平府)·승추부(承樞府)·상서사(尙瑞司) 등 별도의 재정·군사·인사 기구를 폐지하여 6조의 위상을 강화하고 인사권을 이조와 병조에 나누어주었다. 또 이전에는 장관이 정3품 전서(典書)였.. 2018. 11. 16.
조선시대 의정부 편제 경국대전〉에 의하면 의정부의 직제는 정1품 영의정·좌의정·우의정 각 1명, 종1품 좌찬성·우찬성 각 1명, 정2품 좌참찬·우참찬 각 1명, 정4품 사인(舍人) 2명, 정5품 검상(檢詳) 1명, 정8품 사록(司錄) 2명을 두었다. 이후 〈대전통편〉 편찬 이전에 사록 1명이 감소되고, 1865년(고종 2)에 .. 2018. 11. 16.
수성최씨 양막공종중 회칙 【수성최씨 찬성공파 첨악공계】 『楊幕(양막공) 종친회 회칙』 제 1장 총 칙 제1조 (명칭) 본 종친회 명칭은(楊양幕막)공 종친회라 칭한다. 제2조 (목적) 본 종친회는 숭조사상의 고취와 종친의 번영과 발전을 위하고 친목을 도모하며 다음과 같은 업무를 추진한다. ① 숭조사상의 앙양과 .. 2018. 11. 16.
제사상 진설의 의미 ◇진설과 제수에 담긴 의미들 1열은 제주와 가장 멀리 있는 곳을 삼는다. 1열에는 메(밥)와 갱(국)을 놓는다. 추석엔 메(밥) 대신 송편을 올린다. 송편을 올리는 이유는 송편이 추석의 상징적 의미인 둥근 달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때 갱(국)은 동쪽(오른쪽)에, 메는 서쪽(왼쪽)에 놓는다. .. 2018. 11. 16.
주자가례(차례.시제 등) 기제(忌祭)란 고인이 돌아가신 날(忌日)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오늘날 보통 제사라고 불리는 것이 기제다. 기제의 봉사(奉祀)대상은 과거에는 [주자가례]에 따라 4대조까지였으나 요즘에는 가정의례준칙에 의거, 2대조까지와 후손이 없는 3촌 이내의 존. 비속에 한해서만 제사를 .. 2018.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