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21

제사.시향제.시제 진설법 제사 진설은 각 지역이나 각 문중마다 그 방법이 다르다.하여 옛말에 남의 제사에 감놔라. 배놔라.하지 말라고 했다. 그래서 그 방법이 어느 정답은 없고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각자의 형평에 따라 정성을 다한 마음으로 모시면 된다. 제사상 진설 법 제사상 차리는 진설법은 지방과 .. 2018. 10. 27.
분향과 강신의 뜻풀이 분향 재배는 당일 행사에 모시는 분의 영혼을 불러 모시는 절차이고 강신 재배는 당일 모시는 분의 육신형태는 세월이 흘어 비록 변형이 되었지만 육신을 모시는 절차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다른 일설에는 분향 재배의 뜻은 제사를 시행하기 전에 잡신을 물이치고 정결한 분위기를 .. 2018. 10. 27.
전국지도 2018. 10. 25.
족보.비석.위패.축문에 넣어야 할 상식 『문중 족보. 비석.위패.지방. 축문에 기록할 사항』 ◨남편의 품계. 소속관청. 직위 ◨부인의 명호는 품계 명칭 기재된 사람은 한사람 한사람마다 이름, 호(號),자, 시호, 생몰년월일, 품계. 관청. 관직, 훈업(勳業), 덕행, 충효, 저술(著述)등을 기록한다. 사후에 증직과 묘지, 묘비명의 찬술.. 2018. 10. 23.
감 따는 모습 우리집 정원 감나무에 감 따고 있는 아들의 모습과 꽃감 말리고 있는 풍경 2018. 10. 22.
군수( 조선시대 관직) 군 수 군수라는 명칭은 중국 진(秦)나라가 제후들을 진압하고 그 땅에 군을 설치해 수(守)를 둔 것이 그 기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라시대에는 군을 설치해 태수(太守)·소수(小守)를 두었다. 고려시대에는 군이라는 행정 단위는 없고 지군(知郡)이 있었는데, 여기에 지군사(知郡事)를 .. 2018. 10.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