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21

임진왜란 1592년 일본이 조선을 침략한 전쟁이다. 전쟁 전의 조선은 붕당 정치로 인해 군사적 준비가 부족하였고, 방군수포제가 정착되지 않았으며, 지배 계층은 이이의 10만 양병설 주장에 대하여 인식하지 못하였다. 반면 일본은 전국 시대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의 국내 문제를 조선.. 2016. 6. 12.
수성최씨 회석공 승준가계도 수성최씨 세조 문혜공(영규) 부터 아들까지 상계도 다 2016. 6. 9.
사산 감역관. 감역공 사산참군 시대 조선 성격 관직 유형 제도 시행일1754년(영조 30) 분야 역사/조선시대사 요약 조선시대 한성(漢城) 주위의 산을 분장(分掌)하여 성첩(城堞 : 성과 성위에 쌓은 작은 담)·수목(樹木) 등을 보호하는 군직(軍職). 목차펼치기 1.[내용] [내용] 조선 초기에는 사산감역관(四山監役官).. 2016. 6. 9.
조선시대 토지 조사 1910년부터 1918년까지 걸쳐 일제가 실시한 경제 정책. 2. 사업의 목적과 이유[편집] 경술국치로 일제가 한국을 병합한 뒤 식민통치의 경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을 실시하였다. 조선은 농업국가였고 농업의 생산 기반은 토지였기 때문에, 우선 조선의 토지 소유현황을 파악할 할 필요.. 2016. 6. 8.
조선시대 전,답 조상땅 찾은사례 사건 주요내용 소개 일제시대와 해방을 전후한 시기에는 등기부제도 자체가 요즘과 같이 일반인에게 명확하게 인식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당시에는 이른바 "토지문서", "땅문서"만 가지고 있으면 자신 또는 종중의 소유가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등기의 형식주의, 공시제도.. 2016. 6. 8.
조선시대 품계도 1. 조선의 품계도 조선의 품계에는 크게 당상관과 당하관 · 참하관, 참하관으로 나뉩니다. 관품에는 정품과 종품이 있고, 품은 1품에서 9품까지 있습니다. 봉작에는 동반이라고 불리는 문반과, 서반이라고 불리는 무반이 존재했습니다. 관직에 해당하는 품이 따로 존재했구요. 그 관직에.. 2016.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