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21 봉작.봉군제도 봉 작 흔히 봉작(封爵)이란 ‘작(爵)을 봉한다’라고 풀어 사용할 수도 있지만, 그 자체 명사로 사용할 수도 있다. 사료에서는 공(公)·후(侯)·백(伯)·자(子)·남(男) 외에 일반 관직을 작 혹은 관작(官爵)으로 표현하는 수도 있으나, 봉작이라고 할 때는 공·후·백·자·남의 작을 수여.. 2016. 5. 29. 생원. 진사 생원 조선 후기로 넘어오면서 나이 많은 선비에 대한 존칭어로 성씨에 붙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본래 중국에서는 국립대학격인 국자감(國子監)에서 공부하는 학생을 일컫는 명칭이었다. 그러다가 송나라 이후 현시(縣試)·부시(府試)·원시(院試) 등의 시험에 합격, 주·부·현학(州府縣.. 2016. 5. 27. 병조정랑 조선시대 병조(兵曹)에 둔 정오품(正五品) 관직으로 정원은 4원이다. 위로 병조판서(兵曹判書: 正二品), 병조참판(兵曹參判: 從二品), 병조참의(兵曹參議: 正三品 堂上), 병조참지(兵曹參知: 正三品 堂上)가 있고, 아래로 병조좌랑(兵曹佐郞: 正六品)이 있다. 이미 사품관(四品官)에 오른 사.. 2016. 5. 27. 과거제도 (음양과) 음양과 시대 조선 성격 과거, 인사, 관리선발제도 분야 역사/조선시대사 요약 조선시대 관상감(觀象監)의 천문·지리·역수(曆數)·점산(占算)·측후(測候)·각루(刻漏) 등의 일을 맡는 기술직원을 뽑기 위해 시행했던 잡과 시험. 목차펼치기 1.[내용] [내용] 다른 잡과와 마찬가지로 식년.. 2016. 5. 27. 신분 제도의 특징/양반/중인/상민/천민 신분 제도의 특징/양반/중인/상민/천민 조선 시대의 신분 제도는 고려 시대부터 내려온 전통적인 사회적 기반과 유교적 이념에 바탕을 두었다. [신분 제도의 특징] 1. 신분의 분화 과정 (1) 건국 이후 차츰 기틀이 잡혀 감에 따라 사회 신분 제도도 점차 확고해졌다. 유교적 조선 사회의 신.. 2016. 5. 26. 벼슬직위에 대한배우자명칭 [벼슬직위에 대한배우자명칭] 1) 봉 작 1. 제후로 봉하고 관작을 줌. 2. 종친. 의빈 · 내명부 · 외명부들을 봉하는 일. 품계에 따른 명칭은 아래의 내용과 같습니다. (품계 / 문무구분 / 명칭 / 배우자의 명칭) 품계 양반의 명칭 부인의 명칭 정1품 문 : 대광숭록대부(정승) / 보국숭록대부 무 :.. 2016. 5. 26. 이전 1 ··· 152 153 154 155 156 157 158 ··· 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