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 반 상 식262

조선시대 군부관직 조선시대 무관 계급(품계, 관직) 품계 관직 설명 임진왜란시 재임자 정1품 (참모총장급) 도제조 의정(議政)이나 의정을 지낸 사람을 임명하였으나, 실무에는 종사하지 않는 자문 명예직 종1품 (군사령관급) 제조 정2품 (군단장급) 도총관(都摠管) 조선 시대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서 군.. 2018. 12. 6.
조선시대의 군부 조선시대 군부는 중앙군와 지방군으로 나뉘었다. 중앙군의 의흥위, 용양위, 호분위, 충좌위, 충무위를 5위로 하며 각 위의 수장이 도총관이다. 고위직으로는 도총관(정2품), 부총관(종2품), 상호군(정3품), 대호군(종3품)이 있으며 그 밑으로 호군, 부호군, 사직, 사과 등의 직책이 있었다. 평.. 2018. 12. 6.
행장록 기록 行 狀 고려와 조선시대에 죽은 자의 이력과 행적을 기록한 글. 연보年譜라고도 한다. 행장이 언제부터 작성되기 시작했는가는 불분명하다. 오늘날 전하는 행장 중 가장 연대가 앞선 것은 1265년(원종 6)에 작성된 민적閔頔의 행장이다. 행장은 시호· 비명· 묘지명 작성의 토대가 되는 것.. 2018. 12. 5.
안무사. 순무사 안무사 1012년(현종 3)에 절도사제(節度使制)를 폐지하고 75도(道)에 안무사를 파견하였으나 1018년에 폐지되었다. 이때에 안무사는 75도가 아니라 양주·광주·충주·청주·진주·길주·황주 등의 7주에 파견된 것이라는 설도 있다 1107년(예종 2)에 백성의 질고와 수령의 전최(殿最 : 관리의.. 2018. 11. 21.
[스크랩] 조선조의 대가(代加) 제도에 대하여 -통덕랑 등- 조선조 대가(代加)제도 - 통덕랑 등에 대하여 장달수 우리나라의 족보를 보면 관직에 나가지 않았는데 통덕랑(通德郎) 통사랑 (通仕郞) 장사랑 (將仕郞) 등등이 보이고 부인에게도 공인. 의인 유인 등으로 올라있어서 이에 대한 대강을 정리해 보았다. 조선시대의 代加制度는 양반사회가 .. 2018. 11. 20.
대가제도 대가(代加) 또는 대가제(代加制)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고관대작의 자손들 중 과거 시험에 합격하지 못했고, 음서 제도로도 관직에 오르지 못한 자를 구제하기 위한 제도였다. 고려와 조선시대에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당하관 이상의 벼슬을 지냈으나 그 아들, 손자, 아우, 사위, 조카, 사촌.. 2018.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