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 반 상 식262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2) 1) 품 계(品 階) 품계는 시대에 따라 다르며, 문관과 무관에게 주는 명칭도 각기 달랐고 중앙과 지방의 향직(鄕職)도 9품의 상하구분이 있었다. 신라 때는 골품제도(骨品制度)를 토대로 귀족 연합의 전통 위에 형성되어 1등급인 이벌찬에서 17등급인 조위까지 구분.. 2018. 12. 29.
고려 전서 전서 1. 조선조 초엽 육조의 으뜸 벼슬. 품계는 정3품. 태종 5년(1405)에 판서로 고쳤음 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전리사 · 군부사 · 판도사 · 전법사의 4사(司)를 없애고 선부 · 민부 · 언부를 두고 그 으뜸 벼슬인 판서를 고친 이름. 2018. 12. 29.
보문각 보문서 청연각(淸讌閣)이 궐내에 있어 학사들의 직숙(直宿)에 어려움을 겪자, 1116년(예종 11) 홍루(紅樓) 아래에 있는 남랑(南廊)을 수리해 학사들이 회강(會講)하는 당으로 만들었다 이를 정의당(精義堂)이라 한 뒤, 그 좌우를 휴식처로 삼고 보문각으로 이름을 고쳤다. ‘보문(寶文)’이란 송나라.. 2018. 12. 29.
고려.조선시대 관직해설 ⊙가감역관(假監役官) 조선시대 토목(土木), 영선(營繕)을 담당하던 종9품의 임시관직. ⊙가덕대부(嘉德大夫) 조선시대 종 1품의 종친에게 주던 관계(官階). ⊙가선대부(嘉善大夫) 조선시대 관계(官階). 종 2품으로 문(文) 무반, 종친이 받음. ⊙가의대부(嘉義大夫) 조선시대 관계(官階). 종 2.. 2018. 12. 25.
고려 시대의 봉작 및 관직표 고려 시대의 봉작 및 관직표(충선왕 즉위년, 1298) 2018. 12. 24.
대가제도 대가 (代加) 조선시대 문·무의 현직 관원이 자궁(資窮) 이상이 되면, 자신에게 별가(別加)된 산계를 대신 아들·사위·아우·조카 등 친족 가운데 한 사람에게 대가(加)해주는 제도. 자궁은 계궁(階窮)이라고도 하는데 정3품 당하(堂下)의 산계(散階)를 의미한다. 당상관으로 오르는 것을 .. 2018.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