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 반 상 식262

증직제도 국가에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죽은 뒤에 품계 · 관직을 추증(追贈)하여 영예를 누리게 한 일. 삼국시대부터 행하여졌으나, 제도화된 것은 고려시대부터이다. 988년(성종 7) 문무상참관(文武常參官) 이상의 부조(父祖)를 봉작한 이른바 추은봉증(推恩封贈)을 실시하면서부터이다. 1391년(공.. 2018. 11. 20.
조선시대 공신 이 곳은 조선시대때 공신자들의 명단을 정리하였습니다. 고서에 있는 자료마다 인원수가 약간씩 달라서 애매한 부분이 있지만 미미한 차이었으며 참고 하시라고 올려 놓았습니다. 원종공신까지 더하면 수천명이 된다는데 자료를 구할 수가 없어서 올리지 못하였습니다. 원종공신의 명.. 2018. 11. 18.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표 조선시대 품계 & 관직표 동반관직 - 문관의 품계-정1품(종1품)부터 정9품(종9품)까지 18품계. 서반관직 - 무관의 품계-정1품(종1품)부터 정9품(종9품)까지 18품계. 관직의 정식 명칭 - 계(품계의 명칭) · 사(소속된 관청) · 직(맡은 직분)순으로 썼다.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 - 대광.. 2018. 11. 16.
6조 편재 조선시대에 들어와 1405년(태종 5)에는 도평의사사를 폐지하고 의정부를 설치했으며, 사평부(司平府)·승추부(承樞府)·상서사(尙瑞司) 등 별도의 재정·군사·인사 기구를 폐지하여 6조의 위상을 강화하고 인사권을 이조와 병조에 나누어주었다. 또 이전에는 장관이 정3품 전서(典書)였.. 2018. 11. 16.
조선시대 의정부 편제 경국대전〉에 의하면 의정부의 직제는 정1품 영의정·좌의정·우의정 각 1명, 종1품 좌찬성·우찬성 각 1명, 정2품 좌참찬·우참찬 각 1명, 정4품 사인(舍人) 2명, 정5품 검상(檢詳) 1명, 정8품 사록(司錄) 2명을 두었다. 이후 〈대전통편〉 편찬 이전에 사록 1명이 감소되고, 1865년(고종 2)에 .. 2018. 11. 16.
제사상 진설의 의미 ◇진설과 제수에 담긴 의미들 1열은 제주와 가장 멀리 있는 곳을 삼는다. 1열에는 메(밥)와 갱(국)을 놓는다. 추석엔 메(밥) 대신 송편을 올린다. 송편을 올리는 이유는 송편이 추석의 상징적 의미인 둥근 달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때 갱(국)은 동쪽(오른쪽)에, 메는 서쪽(왼쪽)에 놓는다. .. 2018.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