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21

문산계 [표 2] 조선시대 문산계표 그런데 조선시대의 관계 조직은 사회 신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직종(職種)에 따라 신분과 한품(限品)이 달랐고, 반대로 신분에 따라 직종과 한품이 달랐기 때문이다. 조선의 문·무산계는 정1품부터 종9품까지 18자급(資級)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여기.. 2016. 5. 26.
참봉 직책 조선시대 문관(文官) 종구품(從九品) 최말단 관직이다. 종친부(宗親府), 돈령부(敦寧府), 봉상시(奉常寺), 사옹원(司饔院), 내의원(內醫院), 군기시(軍器寺), 군자감(軍資監), 관상감(觀象監), 전의감(典醫監), 사역원(司譯院), 선공감(繕工監), 사재감(司宰監), 전연사(典涓司), 소격서(昭格署).. 2016. 5. 26.
통덕랑 정5품 벼슬 통덕랑, 대가(代加) 등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족보를 보면 관직에 나가지 않았는데 통덕랑(通德郎) 통사랑(通仕郞) 장사랑(將仕郞) 등등이 보이고 부인에게도 공인. 의인 유인 등으로 올라있어서 이에 대한 대강을 정리해 보았다. 직책이 없이 품계만 있는 통덕랑 통선랑 장사랑 등는 실제 .. 2016. 5. 25.
조선시대 계급 정과 종의 차이 조선시대 계급 정과 종의 차이는 어떻게 구분될까? TV를 보다보면 신하들의 계급을 품으로 따집니다. 당연히 숫자가 낮을수록 더 높은 계급이겠죠! 그런데 한가지 의아한 점이 아마도 정과 종의 차이가 아닐까 합니다. 앞서 조선시대는 양반시대였습니다. 양반은 그냥 양반이이라고 하니 .. 2016. 5. 25.
조선시대 관직과 품계 비교표 조선시대 품계 조선시대 각 문중 족보에 기록되여 있는 조상님의 벼슬 품계를 비교 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2016. 5. 25.
조선시대 관직과 품계 조선시대 관직과 품계 문중 세보(世譜).사록(事錄. 세덕(世德)기록물에 나오는 고려말과 조선시대 관직및 품계를 가추려 보았습니다 문사공부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가선대부(嘉善大夫)....조선시대 문반계 종2품. 가정대부(嘉靖大夫).....문반계 종3품직의 품계 경연(經筵).............임.. 2016. 5. 25.